정신의학은 왜, 비정상에만 관심이 있는가? 비정상을 정의하기에만 바빴던 현대 정신의학과는 반대로, ‘정상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던진다. 기본(정상)에 대한 분명한 기준이 있어야 그것을 벗어난 것들(비정상)을 확실히 정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목차
서문 정상과 비정상의 경계를 파악하다
1장 정상과 비정상은 같은 곳에 있다 2장 유전자는 뇌를 어떻게 조율할까? - 기질의 생물학 3장 민감기에 뇌는 어떻게 달라질까? - 양육의 생물학 4장 공감은 인간을 어떻게 변화시킬까? - 마음 읽기의 생물학 5장 사람을 믿는 것이 왜 중요할까? - 애착과 신뢰의 생물학 6장 성性은 어떻게 정신 장애가 될까? - 성적 매력의 생물학 7장 나쁜 기억은 어떤 영향을 끼칠까? - 두려움과 정서 기억의 생물학 8장 새로운 정상에 대하여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간호사라서 다행이야 : 꿈 많은 신규 간호사의 리얼 버라이어티 성장 스토리2015 / 김리연 지음 / 원더박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