족보가 만들어지는 초기 족보의 형태부터 그 이후 시대상의 변화에 따라 족보들이 진화해가는 모습, 족보를 둘러싼 다양한 사회 문화 현상, 족보의 허상과 실재들을 살펴본다.
들어가며
제1부 우리 족보 변천사 제1장 족보의 발달 단계와 그 특징 족보란 무엇인가? 우리 가계 기록의 연원과 현황 족보의 원형, 가승과 족도 초기 족보, 내외자손록과 내외종합보 족보다운 족보, 합동계보: 초보에서 간행본으로 파보에서 대동보로: 국성國姓 전주이씨 사례 제2장 특수한 족보와 생뚱맞은 족보 왕실족보 『선원록』과 『선원계보기략』 족보의 파생 상품, 팔고조도와 십육조도 내시의 족보, 『양세계보』 벼슬길 따라 나뉜 문보, 무보, 음보 만인의 족보, 만성보 『사성강목』과 『선세외가족보』
제2부 성씨와 본관 그리고 조상 찾기 제1장 성씨와 본관의 이중주 고유 성씨와 외래 성씨 본관, 대동강에서 원산만 이남의 어느 행정구역 발해 왕 대조영 후손의 본관 만들기 출신지가 없었던 한국인 환부역조와 창씨개명 제2장 시조와 조상 만들기 시조, 여러 인물 중에 행운을 누린 단 한 사람 시조는 왜 유명 인물뿐인가? 내 조상이 중국에서 왔다는데? 실질적인 시조, 기가조 제2의 본관을 연 사람, 입향조 조상, 우리에겐 선조인가 신인가?
제3부 집단기억과 족보의 문화사 제1장 족보의 사회사, 족보의 문화사 시조 할배와 집단기억 조상 감추기와 전통 만들기 족보여! 진실의 종을 울려라 18세기의 신종 사업, 족보 장사 가족주의와 집단주의의 그늘, 우리가 남이가? 도시 전설, 천방지축마골피 제2장 족보에 목을 매는 사람들 혈통의 줄을 바르게 하라: 첨간添刊과 별보別譜의 마력 종손 자리를 탐하는 계보 전쟁 시조를 놓고 벌이는 문중 간의 시비 나도 양반의 피를 물려받았는데 기생첩과 어우동, 왕가의 자손 고문서에 나타난 보송譜訟 사례
제4부 조상과 족보에 대한 전통 가꾸기 제1장 전통사회의 족보와 보학 계보 추적 두 원리가 낳은 촌수와 항렬 전통사회 읽기의 키워드, 조상과 족보 조선 지식인의 필수 교양, 보학 차이에서 차별로, 여성과 외손 시조동원설과 조상 만들기 현대판 보학의 대가들 제2장 조상과 족보를 통한 전통 가꾸기 개 족보, 말 족보 그리고 인간 족보 다문화 사회와 시조 할머니 영남 사람 호남 사람, 그대의 본관지는 안녕하신가? 몇 대손인가, 몇 세손인가? 헷갈리는 논쟁 연줄로 맺은 세상, 연줄로 풀자 유구한 내 가문 전통 가꾸기
미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나의 투쟁2012 / A. 히틀러 지음 ; 이명성 옮김 / 홍신문화사
뉴턴 : 사과로 우주의 비밀을 열다2014 / 캐슬린 크럴 글 ; 보리스 쿨리코프 그림 ; 장석봉 옮김 / 초록개구리
추사 김정희 : 산은 높고 바다는 깊네2018 / 유홍준 지음 / 창비
구스타프 클림트 = Gustav Klimt 2024 / 글: 김영숙 ; 그림: 구스타프 클림트 / Uhwacampany :
인 마이 백 = In My Bag : 148인의 가방 속 이야기2014 / 14인의 가방 주인 지음 / 루비박스
아직 끝이 아니다 : 배구여제 김연경의 세상을 향한 강스파이크 2021 / 지음: 김연경 / 가연
만해, 그날들 : 한용운 평전2015 / 박재현 지음 / 푸른역사
우리 성씨와 족보 이야기 : 족보를 통해 본 한국인의 정체성2014 / 박홍갑 지음 / 산처럼
천리 밖에서 나는 죽고 그대는 살아서: 추사 집안의 한글 편지와 가족사2020 / 정창권 지음 / 돌베개
벤야민, 세기의 가문2016 / 우베-카르스텐 헤예 지음 ; 박현용 옮김 / 책세상
(고대 아메리카에 나타난) 우리민족의 태극2017 / 손성태 지음 / 코리
미스터 션샤인. 1 : [이북 E-book] : 드라마 원작소설2018 / 극본: 김은숙 ; 소설: 김수연 / 알에이치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