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1장 음색과 소음, 서출들의 반란?
1. 음색과 소음
2. 서양음악사, 소음의 수용 과정
3. 과거 음악에서의 소음
4. 미래주의자들과 소음 음악
5. 존 케이지의 환경적 소음
6. 피에르 쉐페르의 소리객체로서의 소음
7. 전자음악의 합성적 소리음색
2장 1970년대 이전까지의 20세기 기악음악과 음색·소음
1. 음고 체계와 풍요롭지만 과도하게 발달된 음고 처리 방법들
2. 왜 음색인가?
3. 음악의 재료의 역사성
4. 음고와 음색, 그 차이와 연속성
5. 음악적 재료 체계 내부의 여러 차원들의 통합화 과정
6. 쇤베르크의 음색
7. 리게티의 음색
8. 쎌시의 음색
3장 1970년대 이후의 스펙트럼음악과 음색·소음
1. 스펙트럼에 대한 관심: 스펙트럼음악의 전사
2. 소리의 분석과 기악적 재합성
3. 스펙트럼음악의 음악사적 배경
4. 작곡가 제라르 그리제이
5. 트리스탄 뮤라이의 초기 작품들, 음악적 생각
6. 위그 뒤프르의 스펙트럼음악론
7. 음렬음악과 스펙트럼음악의 쟁점들
4장 구체음악과 전자음악, 현대 성악음악에서의 음색과 소음
1. 전자음악과 음색·소음
2. 구체음악과 음색·소음
3. 현대 성악음악과 음색·소음
5장 구체음악과 전자음악의 기술들
1. 마이크로폰과 소리 포착
2. 스피커와 증폭
3. 자기 테이프 및 릴 테이프에 대한 조작과 디지털화
4. 소리객체의 내면적 처리
5. 디지털 샘플링, 소리객체의 디지털 포착
6장 구체음악의 의미, 은유, 소리객체
1. 소리객체의 다중적 의미
2. 구체음악의 의미로서의 은유
3. 소리 환경과 함께하는 작곡
4. 기악적 구체음악과 소리객체
7장 음악적 지각과 개념에 대한 매혹적 반란의 주역, 음색·소음의 구조화를 향하여
1. 되돌릴 수 없는 세계
2. 음색의 소극적 구조화
3. 음색의 위계?
4. 음색과 소음, 더 유연하고 다양한 음악세계로의 초대장
부록
참고문헌
인명 찾아보기
용어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