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프롤로그: 고통을 치유하는 인문정신
1 잃어버린 나를 찾아서
후회하지 않는 삶은 가능한가 - 니체, 『차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
나의 욕망은 나의 것인가 - 라캉, 『에크리』
페르소나와 맨얼굴 - 에픽테토스, 『엥케이리디온』
개처럼 살지 않는 방법 - 이지, 『분서』
자유인의 당당한 삶 - 임제, 『임제어록』
쇄락의 경지 - 이통, 『연평답문』
공이란 무엇인가 - 나가르주나, 『중론』
해탈의 지혜 - 혜능, 『육조단경』
신이란 바로 나의 생명력이다! - 최시형, 『해월신사법설』
습관의 집요함 - 라베송, 『습관에 대하여』
생각의 발생 - 하이데거, 『존재와 시간』
지적인 통찰 뒤에 남는 것 - 지눌, 『보조법어』
관점주의의 진실 - 마투라나, 『있음에서 함으로』
언어 너머의 맥락 - 비트겐슈타인, 『철학적 탐구』
마음을 다한 후에 천명을 생각하다 - 맹자, 『맹자』
죽음을 두려워하지 말라! - 에피쿠로스, 「메노이케우스에게 보내는 편지」
2 나와 너의 사이
자유가 없다면 책임도 없다 - 칸트, 『실천이성비판』
집단의 조화로부터 주체의 책임으로 - 레비나스, 『시간과 타자』
자유와 사랑의 이율배반 - 사르트르, 『존재와 무』
타인에 대한 배려 - 공자, 『논어』
수양에서 실천으로의 전회 - 정약용, 『맹자요의』
사유의 의무 - 아렌트, 『예루살렘의 아이히만』
기쁨의 윤리학 - 스피노자, 『에티카』
선물의 가능성 - 데리다, 『주어진 시간』
살아 있는 모든 것에 대한 감수성 - 정호, 『이정집』
섬세한 정신의 철학적 기초 - 라이프니츠, 『신 인간 오성론』
여성적 감수성의 사회를 위해 - 이리가라이, 『나, 너, 우리』
사랑의 지혜 - 장자, 『장자』
누구도 사랑하지 않아서 누구나 사랑할 수 있다는 역설 - 원효, 『대승기신론소·별기』
설득의 기술 - 한비자, 『한비자』
논리적 사유의 비밀 - 아리스토텔레스, 『분석론 전서』
3 나, 너, 우리를 위한 철학
웃음이 가진 혁명성 - 베르그송, 『웃음』
아우라 상실의 시대 - 벤야민, 「기술복제 시대의 예술작품」
새로움이란 강박증 - 리오타르, 『포스트모던의 조건』
자본주의의 진정한 동력 - 좀바르트, 『사치와 자본주의』
유쾌한 소비의 길 - 바타유, 『저주의 몫』
여가를 빼앗긴 불행한 삶 - 드보르, 『스펙터클의 사회』
운명은 존재하는가 - 왕충, 『논형』
미꾸라지의 즐거움 - 왕간, 『왕심재전집』
덕, 통치의 논리 - 노자, 『도덕경』
사랑, 그 험난한 길 - 묵자, 『묵자』
약자를 위한 철학 - 베유, 『중력과 은총』
주체로 사는 것의 어려움 - 바디우, 『윤리학』
결혼은 미친 짓이다 - 헤겔, 『법철학』
우발성의 존재론을 위하여 - 들뢰즈, 『천 개의 고원』
잃어버린 놀이를 찾아서 - 하위징아, 『호모 루덴스』
치안으로부터 정치로 - 랑시에르, 「정치에 관한 열 가지 테제」
진정한 진보란 무엇일까 - 마르크스, 「포이어바흐에 관한 태제」
에필로그: 독서라는 여행을 위하여
더 읽어볼 책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