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부 왜 자살하는가? 애도 받지 못한 자의 죽음 - 햄릿의 파국과 쌍용차 노동자들 / 김석 애도Trauer와 우울증Melancholie - 정상과 병리적 상태 애도의 두 차원 - 슬픔과 애도 작업 햄릿의 파국과 사회적 애도의 중요성 애도의 부재와 쌍용차 노동자 자살 애도를 통한 공동체 건설 왜 오이디푸스는 죽지 않았는가? / 김종갑 좋은 삶과 그냥 삶, 자살 오이디푸스 왕과 최악의 선택으로서 삶 사회적 동일시, 사회적 죽음, 그리고 알레고리와 은유 종료되지 않은 삶의 의미 소통되지 않는 고통의 경험 - 프리모 레비의 자살 / 서길완 레비의 글쓰기와 증언 작업 수치의 경험들 수치감의 결핍과 부재, 레비의 자살, 그리고 우리의 과제
2부 누가 자살하는가? 청춘의 자살은 유죄? / 김운하 자살로 내몰리는 청춘들 나를 사로잡았던 죽음의 유혹 그럼에도 왜 죽지 않고 인생을 살아가야만 하는가? 하는 질문은… 청춘의 자살은 유죄? 실험과 도전으로 이루어지는 삶 시선에 던져진 여성의 자살 / 최은주 미화되는 죽음, 여성, 몸 페미니즘이 투사하고 보충하는 여성의 몸 자살의 대리보충 - 문자, 문학, 언어 소녀 자살 담론과 지식장 - K여고 연쇄 자살 사건을 중심으로 / 임지연 K여고 연쇄 집단자살 사건의 전모와 특이성 소녀 자살과 생물학적 신체성 소녀 자살과 심리학적 해석장 자살의 해석적 복잡성 이해하기 한국 소설의 '자살' 형상화 양상 / 이영아 1900~1910년대 소설에서의 자살 1920년대 소설의 자살과 여정 1920년대 소설에서 전경화된 여성의 내면 노인 자살과 생태공동체 / 사지원 노인 자살의 현황 노인 자살의 원인 노인 자살의 특징 노인 자살 예방을 위한 대안 나가는 말
3부 어떻게 자살을 해석할 것인가? 살아남은 사람들을 향한 마지막 이야기 - 유서분석을 통해 살펴본 '소통적 자살'의 개념과 의의 / 박형민 ‘소통적 자살’의 이론적 자원 ‘소통적 자살’의 단서 - 유서 소통적 자살의 구성 요소와 발현 양상 맺음말 자살을 바라보는 법의 시선 / 서윤호 자살에 대한 형법의 시선 자살에 대한「자살예방법」의 시선 자살에 대한 다양한 법정책적 시선들 자살자의 자기 신뢰와 세계 신뢰의 강화를 위하여 술과 섹스로 자살한 조선시대 기생에 대한 해석과 평가 / 황혜진 <협창기문>의 특징과 열린 해석의 가능성 기생의 행위에 대한 독자의 해석과 평가 독자 반응에 나타난 자살에 대한 가치 관념 ‘좋은 삶’을 위한 문학교육 애정과 갈등 그리고 자살 / 조은심 생애담과 작품 반응에 나타난 자기서사 생애담과 작품 반응에 나타나 자기서사의 종합적 분석 자살예방을 위한 문학치료적 검토 문학작품을 통한 치료적 전망 나가면서
서가브라우징
사이버 폭력 앞의 아이들 : 청소년을 위한 사이버 불링 대응 매뉴얼2015 / 저스틴 패친, 사미어 힌두자 [공]지음 ; 문경숙, 김용련, 김대희 [공]옮김 / 상상박물관
평화의 소녀상을 그리다 : 우리 나라 75곳 평화비를 찾아 떠난 그림 기행2018 / 글·그림: 김세진 / 보리
총을 든 아이들, 소년병 : 시에라리온 내전으로 꿈과 미래를 짓밟힌 소년병들에 관한 보고서2014 / 미리앙 데노브 지음 ; 노승영 옮김 / 시대의창
총을 든 아이들, 소년병 : 시에라리온 내전으로 꿈과 미래를 짓밟힌 소년병들에 관한 보고서2014 / 미리앙 데노브 지음 ; 노승영 옮김 / 시대의창
위안부를 둘러싼 기억의 정치학 : 다시 쓰는 내셔널리즘과 젠더2014 / 우에노 지즈코 지음 ; 이선이 옮김 / 현실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