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프롤로그 우리는 대체 왜 자기계발서를 읽는 것일까
01 우리 시대의 명령 “부자 되세요” : 로버트 기요사키,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
부자아빠와 부자 되세요
IMF 외환위기와 부자 담론의 적극적 수용
한국 교회와 부자 담론
두 가지 롤모델의 대립
뒤집어 읽은 자본론
다단계와 자기계발
네트워크 마케팅의 본질
부자아빠의 진실과 우리 시대의 욕망
허망한 탐욕에서 현실적 노력으로
02 자기계발 본질로서의 자기 리더십 : 스티븐 코비, 《성공하는 사람들의 7가지 습관》
우리 사회의 프레임을 주조하는 자기계발의 고전
자기주도성과 셀프 리더십
자기주도학습자와 평생학습자
자기주도성과 영향력의 원
자기계발은 자기의 계발이다
03 한국적 자기계발의 시작 : 구본형, 《익숙한 것과의 결별》
인문학적 감수성과 부의 약속
욕망의 시대 도래
신자유주의, 전문가, 그리고 혁명
변화, 욕망, 개혁
열정에의 강요
신자유주의적 자기형성의 테크놀로지
04 본격 가동되는 한국적 자기경영의 속내 : 공병호, 《공병호의 자기경영노트》
공병호의 실용성과 구본형의 감수성
파레토 법칙의 적극적 활용
경영학적 담론과 자기계발
지식경영과 파레토 법칙
몸과 마음, 관계의 경영
경영학과 인간학, 그리고 대기업 옹호
05 자기계발의 외피를 쓴 초과 노동의 요구 : 사이쇼 히로시, 《아침형 인간》
기업의 욕망과 아침형 인간
새벽 기도와 친기업형 한국 교회
일본에서의 아침형 인간
성공의 열쇠로서의 아침 생활
성격 유형에 대한 존중과 수면 유형에 대한 무시
시간 관리에서 시간 혁명으로
06 자기계발 시대에서 엘리트가 살아가는 법 : 데이비드 브룩스, 《보보스》
새로운 시대 미국의 엘리트 계층
보보스의 물적 기반
보보스의 소비 방식
보보의 영성 스타일
보보의 현실, 우리의 이상
07 근면에서 공상으로 : 론다 번, 《시크릿》
신비적 자기계발과 《시크릿》
공개된 비전(秘傳)
로또 당첨
시크릿의 천국
욕망 추구와 현실 외면
신사상 운동
불안사회
08 뉴에이지와 자기계발의 만남 : 엘리자베스 퀴블러 로스·데이비드 케슬러, 《인생 수업》
뉴에이지의 성격
헌신 대신 구매를 요구하는 종교
퀴블러 로스의 개심
뉴에이지와 기독교의 인생관
《인생 수업》의 복음
자기 자신으로 존재하라는 강박
고해(苦海)와 영적 진통제
09 기독교, 자기계발의 영원한 파트너 : 조엘 오스틴, 《긍정의 힘》
한국의 초기 기독교와 신비적 자기계발
무속 신앙과 기독교의 만남
긍정의 기독교
현대 복음주의
긍정의 윤리와 세속의 성공
긍정의 구원
10 심리적 자기계발로의 전환 : 김혜남, 《서른 살이 심리학에게 묻다》
공황과 우울
서른 살과 심리학
심리학을 빙자한 자기계발의 유혹
서른에 대한 맹신
11 신자유주의와 힐링 산업 : 혜민, 《멈추면, 비로소 보이는 것들》
트위터의 대중성
혜민이 찾은 위안, 혜민이 주는 위안
내 마음이 쉬면 세상도 쉰다
따스한 공감과 달콤한 위로의 진실
마음으로는 불의에 맞서고, 현실에서는 큰 감사를 느끼고
불법과 나르시시즘
진정한 종교와 사탕발림
멘토와 힐링 산업
12 성공학과 인문 페티시즘의 만남 : 이지성, 《리딩으로 리드하라》
20대 청년들의 자기계발 멘토
이지성의 필력, 이지성의 기획
인문 고전 페티시즘
고전 탐독과 불안사회
고전 탐독의 목적을 되묻자
13 멘토에 열광하는 우리 사회 : 박경철, 《시골의사 박경철의 자기혁명》
멘토, 새로운 유형의 지도자
새로운 세대의 지도자
박경철과 청춘콘서트
청년 세대의 특권화
열정 강박
인문 강박이 말하지 않는 것
친절한 멘토의 잔인한 메시지
멘토링의 실제 대상
매트릭스로부터의 자유
에필로그 서로계발하는 사회를 향하여
자기계발서 베스트 & 워스트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