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직 두 다리만 의지한 채 한양도성 전 구간을 돌며 펼치는 답사기행, 혹은 역사기행서. 저자는 600년이란 도성의 역사와 때맞춰 세계문화유산으로 발돋움하게 된 2015년이란 현시점에서 '내가 발 딛고 살아온 나의 뿌리 서울의 역사'를 돌아보고자 한양도성 순례를 시작하였다.
머리말- 성곽을 따라 역사의 퍼즐을 맞추다
프롤로그- 성곽, 그리고 성곽의 역사 한양 천도의 과정│우역곡절 속의 개국과 천도 경복궁 주산논쟁│내사산과 외사산 한양도성의 사대문│‘인의예지신’을 인간의 공간으로 한양도성의 수축과 변화│세계최장 성곽으로 존재 각자성돌│도성건설의 실명제 성벽 구조 및 용어│도성설계의 치밀함
의義- 수오지심을 말하다 첫 번째 걸음│돈의문에서 사직터널까지 서대문역 일대│조선 500년사가 마주보다 4.19혁명기념도서관│이기붕 가의 멸문지화 돈의문│제 이름마저 빼앗이고 사라진 대문 경교장│최창학, 이광수의 신분세탁 공간 홍난파 가옥│<봉선화>의 애절함은 간 곳 없고 사직터널│70년대 말 전쟁위기를 상상하다 권율 집터│권율의 최고 전투는 행주대첩이 아니었다 딜큐샤│행촌동의 붉은 벽돌집 두 번째 걸음│서대문 밖 이야기 서대문 독립공원│그는 왜 조선말을 하지 않았을까 서대문형무소 역사관│감옥 속에 비친 대한민국 역사 세 번째 걸음│인왕산 성곽(사직동에서 창의문까지) 필운대│영원한 개구쟁이 이항복 사직공원│궁궐 배치의 매뉴얼을 읽다 국사당│아직도 돌아가지 못한 슬픈 사당 치마바위│단경왕후의 연분홍빛 그리움 탕춘대성│한양도성의 구조변화 윤동주문학과│우리시대의 영원한 청춘 청운동│백세청풍의 명승지 무궁화공원│궁정동의 슬픈 여인들 네 번째 걸음│부암동, 창의문 밖 이야기 무계원│고급요정에서 전통문화공간으로 현진건 집터│빙허, 식민지 조선의 슬픈 지식인 무계정사│안평대군의 무릉도원과 배신자 신숙주 반계 윤웅렬 별장│서울시가 관리하는 친일파 별장 석파정과 아소정│그리고 권력무상 부침바위│부암동 이름의 유래가 된 바위 춘원헌│친일 공범론의 창시자, 이광수 세검정│인조반정군이 칼을 씻던 곳 백사실계곡│서울 한복판에 1급수가 흐르다 다섯 번째 걸음│백악성곽(창의문에서 숙정문까지) 창의문│인조반정, 그리고 이괄의 난 조선 국왕의 묘호│조祖종宗의 무원칙 한양의 주작대로│백악마루에서 세종로의 역사를 보다 숙정문│600년 동안 닫힌 대문
지智- 시비지심을 말하다 여섯 번째 걸음│성북동, 숙정문 밖 이야기 성북동│어떻게 지금의 부촌이 만들어졌을까? 삼청각│1970년대 요정정치의 현장 길상사│이승에서 이루지 못한 기생의 사랑 성락원│의친왕의 슬픈 별궁 간송미술관│민족의 혼을 간직한 최초의 사립미술관 수연산방│남에서 북으로, 서에서 동으로 갈라진 삶 심우장│만해 한용운의 북향집 일곱 번째 걸음│혜화문 일대(와룡공원에서 혜화문까지) 서울시장공관│드디어 성곽에서 내려오다 여운형 암살현장│미궁에 빠진 암살 배후 돈암장│이승만의 미국생활은 항일인가 친일인가 여덟 번째 걸음│낙산성곽(혜화문에서 동대문까지) 낙산│적장자 세습이 순탄치 않았던 까닭 쌍계·삼선평│도심 속의 신선계 비우당│이곳에서 《지봉유설》을 쓰다 단종애사의 흔적들│단종을 그리워하는 정순왕후의 삶 이화장│대통령을 만들고 떠나보내고 창신동│‘Made in 창신동’의 어제와 오늘
인仁- 측은지심을 말하다 아홉 번째 걸음│동대문에서 장충동까지 흥인지문│졸지에 가장 오래된 대문이 되다 동묘│서울 한복판에 중국의 귀신을? 광장시장│조선자본주의의 맹아, 그 굴절의 모습 버들다리와 오간수교│청계천에 서린 민초의 고통 동대문디자인플라자│경성운동장에서 해방정국을 보다 훈련원의 터│조선시대 군란의 현장 광희문│시체가 드나들던 시구문 열 번째 걸음│장충단공원 일대(장충동에서 남산입구까지) 장충단│존재 의미가 파괴된 최초의 국립묘지 박문사│조선궁궐을 뜯어 추모사찰을 짓다 신라호텔│미완의 친일 청산 자유센터│최고건축가 김수근의 성곽파괴 열한 번째 걸음│남산성곽(남소문에서 숭례문까지) 남소문│존재하였다는 사실조차 잊히다 남산 봉수대│돌아오지 못하는 국사당을 생각하다 조선신궁│황국신민화의 절정 안중근 의사 동상│죽어서도 친일파에게 추모당하다 열두 번째 걸음│예장동 및 필동 일대 조선통감관저의 터│경술국치의 현장 안기부 터│치욕의 남산에서 공포의 남산으로 남산 한옥마을│조선헌병대의 터에 무슨 일이? 한국의 집│박팽년의 충절이 무색해지다
예禮- 사양지심을 말하다 열세 번째 걸음│숭례문에서 서소문까지 숭례문│신자유주의로 무너지는 국보 1호 선혜청│공평한 세금을 위해 고민한 조선 칠패시장│실패로 돌아간 조선의 자본주의 명동과 충무로│욕망의 해방구, 메이지마치 정미의병 발원 터│백 년 전의 총격전 열네 번째 걸음│정동 일대(서소문에서 돈의문까지) 정동│신덕왕후 강씨의 운명 덕수궁│원래보다 3분의 1로 작아지다 하비브 하우스│영원히 팔린 땅 중명전│치욕의 현장은 지금도 을씨년스럽다 정동 선교기지│기독교 선교의 발상지 유관순 기념관│유관순을 바라보는 신화와 현실 손탁호텔│서울에 세워진 최초의 호텔 러시아공사관 터│아관파천, 사대주의의 변형
아는동네 아는연희 2022 / 사진: 조지영, 홍종호 / 어반플레이
찰리와 리즈의 서울 지하철 여행기2014 / 지은이: 찰리 어셔 ; 사진: 리즈 아델 그뢰쉔 ; 번역: 공보경 / 서울셀렉션
찰리와 리즈의 서울 지하철 여행기2014 / 지은이: 찰리 어셔 ; 사진: 리즈 아델 그뢰쉔 ; 번역: 공보경 / 서울셀렉션
우리 골목에서 만나자 : 주머니는 가벼워도 느낌 있게 즐기는 서울 골목학 개론2016 / 엮음: SK플래닛 대학생 체험 리포터 플리터 4기 / 상상
놓치면 후회할 서울 나들이 명소 48 = Visit Seoul : 서울 한나절 걷기 여행 코스 2020 / 지음: 염승화 / 보민
놓치면 후회할 서울 나들이 명소 48 = Visit Seoul : 서울 한나절 걷기 여행 코스 2020 / 지음: 염승화 / 보민
edit. Seoul2016 / 지음: 오선희 / 중앙m&b
한양도성 걸어서 한바퀴 : 서울성곽길 따라 6백 년 역사 속으로!2015 / 지은이: 유영호 / 창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