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쟁(아규멘테이션)’이라는 것이 단순한 말싸움이 아니라 합의를 위한 ‘변증법적 소통’이라는 생각에 기반을 둔 수사학 이론서이자 커뮤니케이션 연구서이다. 다양한 기법, 설득과 토론의 이론적 배경 등을 소개하고, 갈등의 유형과 분쟁의 구성 요소 등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목차
책머리에 : 침묵보다 값진 말을 위하여
I. 말과 세상 1. 수사학에 대하여 (1) 말하는 세상에 대한 작은 글 (2) 수사학의 기원과 발달 (3) 수사학과 논쟁
2. 설득의 수사학적 도구들 (1) 아리스토텔레스의 설득 기법 (2) 미사여구법에 따른 수사 기법 (3) 화용론적 수사 기법 (4) 그 밖의 수사학적 도구들
II. 주장과 설득의 시대
3. 논쟁이란 무엇인가? (1) 논쟁의 정의 (2) 논쟁의 목적과 기능 (3) 논쟁의 역사 (4) 논쟁의 규칙과 윤리
4. 논쟁의 시작 (1) 왜 논쟁하는가? : 갈등에 대하여 (2) 논쟁은 누가 시작하는가? (3) 무엇에 대해 논쟁하는가? (4) 청중의 중요성
III. 논란의 해부학
5. 논란의 구성 요소 (1) 중심 질문 (2) 이슈 (3) 논쟁 (4) 전제와 증거
6. 이슈 발굴을 위한 모델 (1) 접점 모델 (2) 필수 쟁점 모델
IV. 논증 구조와 논쟁의 형식
7. 논증 구조 (1) 연역적 논증 (2) 귀납적 논증 (3) 툴민(Toulmin)의 논증 모델 (4) 브로크리드(Brockriede)와 에닝거(Ehninger)의 논증 모델
8. 논쟁의 형식 (1) 예시를 통한 논쟁 (2) 비유를 통한 논쟁 (3) 인과관계를 통한 논쟁 (4) 상징 혹은 징후에 의한 논쟁 (5) 원인 적용에 의한 논쟁 (6) 일반화의 응용에 의한 논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