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되는 국가적 재난의 원인을 저자 최동석 교수는 ‘개인의 무능’이나 ‘국민성’이 아닌 관료조직의 ‘의사결정제도’에 두고 있다. 시스템이 똑똑한 사람들을 무능하게 만든다는 것이다. 그 의사결정 메커니즘이 바로 ‘품의제도’다.
목차
저자의 말 - 호소하는 마음으로
프롤로그 - 왜 그랬을까 복사본이 사라진 사회에서 해경은 왜 그랬을까? 고위공직자들은 왜 그랬을까? 박근혜는 무능한가?
1부 인간과 조직을 어떻게 볼 것인가? 1 인간을 어떻게 볼 것인가? : 부패의 악순환 구조 어쩌다 이렇게 됐나?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보이지 않는 것을 보지 못하는 사람들 인간을 어떻게 볼 것인가? 현대 학문의 뿌리 ― 인간이 자원이라고? 전통적 인간관에 대한 반성 잘못된 인간관에서 출발한 경제학 무엇이 문제인가? 부패의 악순환 선과 악이 공존하는 전인적 인간관 2 조직을 어떻게 볼 것인가? : 인간을 위한 조직설계 강의시간 중에 뜨개질 하는 학생들 새로운 조직이해 효과적인 조직은 어떠해야 하는가? ― 조직설계를 위한 세 가지 파라미터 필요충족성 유연성 의사결정성 ‘열심히 일하라’는 헛소리 정보·지식사회형 조직 조직을 변화시키려면 그러면 무엇을 바꿔야 할 것인가? ― 조직혁신을 위한 세 가지 조건 직무의 사유화 수요자에 의한 평가 선발의 객관화 이러한 변화가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2부 무엇이 조직을 병들게 하는가? 3 ‘인간을 위한 거울’이 깨졌으나… : 문화의 병리학적 진단 지역감정은 나쁘다? 사람이 본능에만 사로잡혀 있지 않는 까닭 문화란 무엇인가? ― ‘인간을 위한 거울’ 인간은 문화를 창조하지만, 문화는 다시 인간을 만든다 문화를 어떻게 분석할 것인가? ― 문화의 병리학적 원리 기업가의 부도덕성이 문제라고? 조직이란 무엇인가 ― 인간, 구조, 체계 조직이 병들다니? 인격장애 구조장애 체계장애 조직실패의 악순환 모델 ‘인간을 위한 거울’이 깨졌으나… 4 나라를 망친 ‘어찌 하오리까’ : 품의제도의 덫 한국인은 일하기를 좋아한다? 총체적 부패 ‘어찌 하오리까’ ― 품의제도란 무엇인가? 품의제도는 정말 민주적인 제도인가? 품의제도의 진정한 문제점 무슨 일이 어디서 어떻게 벌어지고 있는지 알 수 없다 합리적 의사결정이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조직의 폐쇄성을 강화시킨다 결과에 대해 아무도 책임지지 않는다 전문성을 키울 수 없다 중요한 결정은 품의대상이 아니다 어째서 품의제도를 버리지 못하는가 품의제도가 생산한 인물들 상관순응형 인물 무데뽀형 인물 품의제도의 덫에 걸려든 YS와 DJ 그러면 어떻게 할 것인가? ― 단위업무담당제를 도입해야 단위업무담당제의 효과 인사고과제도를 함께 고쳐야
에필로그 - 시스템 개혁에 관한 대화와 토론을 위하여
서가브라우징
하루 10분 짬짬이 영어 패턴 : 우선순위 기본 패턴2013 / 이광수, 이수경 지음 / 넥서스
길위에서 만나는 신뢰의 즐거움2014 / 알폰소 링기스 지음 / 오늘의책
길위에서 만나는 신뢰의 즐거움2014 / 알폰소 링기스 지음 / 오늘의책
길위에서 만나는 신뢰의 즐거움2014 / 알폰소 링기스 지음 / 오늘의책
나는 내가 아픈줄도 모르고2014 / 가토 다이조 지음 / 나무생각
나는 내가 아픈줄도 모르고2014 / 가토 다이조 지음 / 나무생각
나는 내가 아픈줄도 모르고2014 / 가토 다이조 지음 / 나무생각
똑똑한 사람들의 멍청한 짓 : 최악의 의사결정을 반복하는 한국의 관료들2014 / 최동석 지음 / 21세기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