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포스트모더니즘, 포스트오리엔탈리즘, 해체주의 등 서구사회의 한계에 대한 자각으로부터 촉발된 다양한 형태의 논의들이 받았던 도교로부터의 충격과, 서구인의 생활세계 속에 여성운동이나 명상, 요가활동 같은 방식으로 녹아 있는 도교의 흔적을 추적하고 있다.
목차
서문
옮긴이의 말
제1장 말할 수 있는 도
1. 오리엔테이션 그리고 반오리엔테이션
2. 방법과 수단
3. 서양으로 가는 길
제2장 그 의미는 그 의미가 아니다
1. 도교란 무엇인가?
2. 삼교(유교, 불교, 도교)
3. 역사적 기원
제3장 답답한 학자들
1. 도교에 대한 서양의 시선
2. 도교 읽기
제4장 위대한 대지
1. 혼돈 속의 질서
2. 우주론
3. 과학: 새로운 패러다임인가?
4. 환경주의: 새로운 방법인가?
제5장 소요유
1. 도교의 도덕적 전망
2. 자기수양(self-cultivation)의 윤리학
3. 무정부주의 정치학
4. 여성과 성
제6장 물화
1. 불사의 도
2. 내적 수양의 도
3. 섹스의 도
4. 건강의 도
제7장 도는 말할 수 없다
1. 신비주의
2. 눈에 보이는 신비주의: 산수화
3. 초월
제8장 새들의 지저귐
1. 차이 생각하기
2. 회의주의, 상대주의, 그리고 비이성주의
3. 포스트모더니즘
제9장 서유기
1. 오리엔탈리즘을 넘어서
2. 도교를 넘어서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