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03 근대적 국제무역이론 - 요소부존과 국제무역 3.1 자본의 의미 3.2 리카도 이론과의 차이점과 공통점 3.3 점퍼의 이야기 3.4 헥셔-올린 이론의 모형 3.4.1 요소부존도와 생산가능곡선 3.5 헥셔-올린 이론의 주요 정리 3.5.1 무역의 방향에 대한 헥셔-올린 정리 3.5.2 자유무역이 요소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요소가격균등화 정리 3.5.3 무역이 요소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스톨퍼-사뮤엘슨(Stolper-Samuelson) 정리 3.5.4 생산요소 증가의 효과를 부여주는 립진스키(Rybczynski) 정리 3.6 헥셔-올린 이론의 확장과 실증분석 부록Ⅰ 1차동차 생산함수의 특성 부록Ⅱ 특정요소 부존도와 국제무역 1. 특정요소(特定要素, specific factor)의 뜻 2. 특정요소의 부존도와 생산기능곡선의 모양 3. 특정요소 부존도와 무역패턴 4. 자유무역과 요소증가의 효과 연습문제
Chapter 04 현대적 국제무역이론 - 규모의 경제와 불완전경제 4.1 근대적 국제무역이론의 현실적합성 4.2 규모의 경제와 국제무역 4.3 과점과 국제무역 4.4 독점적 경쟁(獨占的 競爭)과 국제무역 4.5 수요와 국제무역 - 린더의 대표수요설(代表需要設, theory of representative demand) 4.6 기술격차이론(技術隔差理論)과 제품수명주기설(製品壽命週期設) 연습문제
Chapter 5 생산요소의 이동과 국제무역 5.1 작물, 사람, 자본 이동의 역사 5.2 신고전파 세계에서 요소의 이동 5.3 규모의 경제와 요소의 이동 5.4 자본의 이동과 다국적기업(多國籍企業, multinational corporations: MNCs)
Chapter 7 한국의 경제발전, 국제무역 및 시장개방 7.1 한국 경제발전과 국제무역 7.2 무역정책과 무역 7.3 한국의 시장개방 현황 7.3.1 분야별 시장개방 현황 7.4 무역정책의 지속가능성 연습문제
Chapter 08 표준적 무역정책 8.1 관세부과의 경제적 효과 8.1.1 관세의 유형과 관세부과의 목적 8.1.2 관세부과의 수요·공급에 의한 분석: 수입국이 소국인 경우 8.1.3 관세부과에 따른 후생효과 8.1.4 관세부과의 효과: 수입국이 대국인 경우 8.1.5 관세부과 선호 이유 8.1.6 관세부과의 효과 예 8.1.7 관세부과로 인한 자중손실의 예 8.2 수입쿼터(수입수량할당)의 경제적 효과 8.2.1 수입쿼터의 경제적 효과와 후생효과 8.2.3 수입쿼터에 대한 오해 8.2.3 관세부과와 수입쿼터 간의 공토엄과 차이점 8.2.4 쿼터지대 추구경쟁 8.3 수출보조금의 경제적 효과 8.4 자발적 수출규제의 경제적 효과 8.5 관세부과가 허용되는 경우 8.5.1 반덤핑관세 8.5.2 상계관세 8.5.3 긴급수입제한관세 8.6 실효보호관세율 8.7 최적 관세
Chapter 09 전략적 무역정책―보조금 정책을 중심으로 9.1 게임이론의 기초 9.1.1 용의자 딜레마 게임 9.1.2 치킨 게임 9.2 불완전경쟁과 전략적 무역정책 9.2.1 전략적 무역정책 9.2.2 전략적 무역정책의 문제점: 이웃 국가 궁핍화와 보복 위험
Chapter 10 지대추구활동과 무역정책 10.1 지대추구활동의 기초 10.2 경쟁적인 지대추구활동 10.3 지대추구활동과 돈 불태우기 게임 10.4 지대추구를 위한 로비활동 - 관세부과의 경우 10.5 지대창출 과정 및 행위 10.6 지대추구의 통제와 지대창출의 억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