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자서
서문1
서문2
서문3
제1장 서론
1. 연구 목적
2. 연구사 검토
3. 연구 방법
제2장 득음의 개념 규정과 구성 요소
1. 개념 규정
2. 구성 요소
제3장 기본 요소로서의 호흡법
1. 호흡의 이해
1) 호흡의 종류
(1) ‘단전호흡’
(2) ‘도둑숨’
2) 호흡의 조건
2. 호흡의 주요 기능
1) 발성의 기氣와 힘
2) 장단의 한배와 단락짓기
3) 극적 상황에 따른 감정 조절
제4장 핵심 요소로서의 발성법
1. 발성의 이해
1) 발성의 원리
2) 발성의 종류
(1) 통성 발성
(2) 덜미 발성
(3) 발성의 조건
2. 발성의 주요 응용
1) 소리꾼에 맞는 ‘청’의 유지
2) 이면에 맞는 음악의 조화
3) 가락에 맞는 목구성 구사
4) 조調에 따른 성음의 표출
3. 목 관리
1) 성대 관리
(1) 체력 관리
(2) 생활관리
(3) 변성기 관리
2) 성대 단련
(1) 목이 좋을 때의 성대 단련
(2) 목이 상했을 때의 성대 단련
(3) 음성 관리
제5장 의미화 요소로서의 발음법
1. 발음의 이해
1) 발음의 중요성
2) 발음의 원리
3) ‘세자침’
2. 의미화에 이르는 주요 방법
1) ‘고저장단’
2) ‘된 발음’ 조성
3) ‘자모음 분리’
4) ‘어단성장’
5) ‘아래 아(·)’의 구두전승
제6장 수련 과정으로서의 독공
1. 독공의 이해
1) 독공의 형태
2) 독공의 조건
3) 독공의 과정
2. 독공의 주요 효과
1) 공력의 확대
2) 이면의 재해석
3) 소리의 자기화
제7장 결론
부록 구술 대담
참고문헌 및 자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