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로스 총서 시리즈 31권. 근대 서양음악의 역사와 이론을 ‘음색’과 ‘소음’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비판적으로 조망한다. 인문학적·과학기술적 관점과 통합시킴으로써 음악의 영역을 확장하고 음악에 대한 사유를 우리 삶, 또 생명 자체에 대한 통찰과 연결해보고자 한다.
머리말
1장 음색과 소음, 서출들의 반란? 1. 음색과 소음 2. 서양음악사, 소음의 수용 과정 3. 과거 음악에서의 소음 4. 미래주의자들과 소음 음악 5. 존 케이지의 환경적 소음 6. 피에르 쉐페르의 소리객체로서의 소음 7. 전자음악의 합성적 소리음색
2장 1970년대 이전까지의 20세기 기악음악과 음색·소음 1. 음고 체계와 풍요롭지만 과도하게 발달된 음고 처리 방법들 2. 왜 음색인가? 3. 음악의 재료의 역사성 4. 음고와 음색, 그 차이와 연속성 5. 음악적 재료 체계 내부의 여러 차원들의 통합화 과정 6. 쇤베르크의 음색 7. 리게티의 음색 8. 쎌시의 음색
3장 1970년대 이후의 스펙트럼음악과 음색·소음 1. 스펙트럼에 대한 관심: 스펙트럼음악의 전사 2. 소리의 분석과 기악적 재합성 3. 스펙트럼음악의 음악사적 배경 4. 작곡가 제라르 그리제이 5. 트리스탄 뮤라이의 초기 작품들, 음악적 생각 6. 위그 뒤프르의 스펙트럼음악론 7. 음렬음악과 스펙트럼음악의 쟁점들
4장 구체음악과 전자음악, 현대 성악음악에서의 음색과 소음 1. 전자음악과 음색·소음 2. 구체음악과 음색·소음 3. 현대 성악음악과 음색·소음
5장 구체음악과 전자음악의 기술들 1. 마이크로폰과 소리 포착 2. 스피커와 증폭 3. 자기 테이프 및 릴 테이프에 대한 조작과 디지털화 4. 소리객체의 내면적 처리 5. 디지털 샘플링, 소리객체의 디지털 포착
6장 구체음악의 의미, 은유, 소리객체 1. 소리객체의 다중적 의미 2. 구체음악의 의미로서의 은유 3. 소리 환경과 함께하는 작곡 4. 기악적 구체음악과 소리객체
7장 음악적 지각과 개념에 대한 매혹적 반란의 주역, 음색·소음의 구조화를 향하여 1. 되돌릴 수 없는 세계 2. 음색의 소극적 구조화 3. 음색의 위계? 4. 음색과 소음, 더 유연하고 다양한 음악세계로의 초대장
부록 참고문헌 인명 찾아보기 용어 찾아보기
(그라우트의) 서양음악사. 상2009 / Donald J. Grout ; Claude V. Palisca ; J. Peter Burkholder 글 ; 민은기 ; 오지희 ; 이희경 ; 전정임 ; 정경영 ; 차지원 옮김 / 이앤비플러스
(그라우트의) 서양음악사. 하2009 / Donald J. Grout ; Claude V. Palisca ; J. Peter Burkholder 글 ; 민은기 ; 오지희 ; 이희경 ; 전정임 ; 정경영 ; 차지원 옮김 / 이앤비플러스
낭만파 피아노 음악2010 / 김경임 지음 / 경북대학교 출판부
클래식 음악 연표 = Timeline of classical music : 1500년부터 현대까지2018 / 엮음: 김동연 / Franz(프란츠)
중세 음악 역사·이론2005 / 김미옥 지음 / 심설당
(천재작곡가 43인의) 클래식 바이블 = Classical music bible2012 / 김정현 저 / 일진사
(천재작곡가 43인의) 클래식 바이블 = Classical music bible2012 / 김정현 저 / 일진사
매혹의 음색 = Timbre of attraction2014 / 김진호 지음 / 갈무리
(5일 만에 끝내는) 클래식 음악사 = history of western music : 난생 처음 클래식을 제대로 공부하다2018 / 지음: 김태용 / 소울메이트
(5일 만에 끝내는) 클래식 음악사 = history of western music : 난생 처음 클래식을 제대로 공부하다2018 / 지음: 김태용 / 소울메이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