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Chapter 01 교양 교육 이대로 좋은가?
1. 누스바움, 민주주의에 대해 말하다
2. 민주주의를 위한 교육 진단: ‘이익 창출’에서 ‘민주주의를 위한 교육’으로
3. 새로운 시민교육 모델: ‘소크라테스식 교육법’을 통한 ‘인간 계발’ 모델로
4. 시민교육과 세계 시민: 궁지에 몰린 민주주의 교육
5. 민주주의의 강화와 세계 시민 되기: 지금 이곳에서는?
Chapter 02 우리는 안녕한가?
1. 시작하는 말: 문화비극의 한 현상
2. 사람살이의 관계에서 나타나는 문화의 비극
3. 문화화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화의 비극
4. 맺는 말: 문화의 비극은 우리의 우울한 운명인가?
Chapter 03 우리 사회는 건강한가?
1. 시작하는 말: 인종주의는 이제 사라졌는가?
2. 인종주의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
3. 고비노의 인종주의에 나타난 역사관
4. 고비노의 인종주의와 나치즘 다시 보기
5. 고비노의 인종주의와 니체와의 관계
6. 그렇다면 고비노의 인종주의 이론과 나치즘의 결합을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7. 맺는 말: 인종주의, 그러나 우리에겐 학벌의 이름으로
Chapter 04 우리의 기억은 정당한가?
1. 기억과 우리의 삶
2. 문화학에서 본 ‘기억’,‘역사’,‘역사가’
3. 사회학에서 본 ‘기억’,‘기억 책임’,‘기억 공동체’
4. 문화적 기억과 공공성? ‘기억 윤리’가 살아있는 ‘기억 공동체’에서
Chapter 05 우리는 이념논쟁에서 자유로운가?
1. 시작하는 말
2. 가다머의 철학적 해석학의 핵심 개념들
3. 하버마스의 비판적 해석학의 핵심 개념들
4. 가다머와 하버마스 해석학의 방향성의 차이
5. 가다머와 하버마스 해석학의 방향성의 공통점
6. 가다머와 하버마스 입장에 대한 리쾨르의 해석학적 종합
7. 맺는 말: 보수와 진보를 넘어서
Chapter 06 우리는 진정 지식인인가?
1. 들어가는 말
2. 인문학 연구의 주요 대상으로 대중문화
3. 대중문화의 이해 방식과 지식인의 역할
4. ‘우리’의 대중문화와 ‘우리’의 지식인, 그 반성과 모색
5. 나오는 말
Chapter 07 예술작품에 대한 올바른 감상법은 있는가?
1. 시작하면서
2. 국내 박물관·미술관의 도슨트의 운영과 직무 유형
3. 박물관·미술관의 예술품과 ‘발견(發見)’으로서의 예술
4. 박물관·미술관의 예술품과 그 해석
5. ‘해석자’로서 도슨트, 해석(解釋)의 대상이 된 예술품
6. ‘안내자’로서 도슨트, 체험(體驗)의 대상이 된 예술품
7. 예술 對 비예술의 경계
8. 마무리하며
Chapter 08 사랑만 있으면 되는가?
1. 들어가는 말: 생활세계로서 多文化
2. 多文化 현상의 한 예로서 동성애, 그 찬반 논쟁
3. 다문화 수용하기, 멀고도 힘든 길
4. 나가는 말: 다문화, 바라봄에서 포용함으로
Chapter 09 종교의 기능과 역할은 무엇일까?
1. 시작하는 말
2. 신화와 신화적 사고의 특징
3. 종교와 종교적 사고의 특징
4. 종교의 정치화, 정치의 종교화
5. 맺는 말: 합리적인 사회를 기대하며
Chapter 10 앎의 과정과 방식은 모두 동일할까?
1. 들어가는 말
2. 인식(認識)의 현상학
3. 인식(認識)의 토대로서 상징(象徵), 상징적 인식
4. 나오는 말: 인식의 현상학을 너머 문화과학으로
Chapter 11 역사를 바라보는 눈은 왜 다른가?
1. 들어가는 말
2. 학(學)으로서의 자연과학과 역사학
3. 역사 해석학
4. 나오는 말: 문화과학으로서 역사 해석학
Chapter 12 시간을 대하는 관점은 왜 다른가?
1. 들어가는 말
2. 문화의 패러독스
3. 문화의 다양성과 그 철학적 근거
4. 나오는 말: 우리는 자신의 문화를 넘어설 수 있는가?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