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한국의 미래 발전과 성장 동력 연구 총서'의 넷째 권이다. 과거의 부(富)가 하드웨어 중심이었다면, 미래의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지식과 상상력에서 발원할 것이다.
목차
발간사 책을 내면서
제1장 세계정치경제의 힘의 이동과 질서 변화 / 백창재 1. 서론: 세계정치경제의 주요 흐름 2. 힘의 이동에 대한 관점 3. 힘의 이동의 다면성 1) 경제력 분포의 변화 2) 제도적 권력의 변화 3) 구성적 권력의 변화 4. 세계정치경제질서에 대한 함의
제2장 동아시아 전략 환경의 변화와 한국: 양자와 다자의 상호작용 / 신욱희 1. 서론 2. 양자관계 1) 미중관계의 역동성 2) 미일관계의 연속성 3) 중일관계의 모호성 3. 다자주의 1) ASEAN Way 2) 아시아/태평양 협력 3) 한중일 삼자주의 4. 결론: 한국의 전략
제3장 울릉도의 토속지명으로 본 자원과 경계 / 전경수 1. 서론: 문서와 기억 2. 울릉도의 역지 3. 벌목과 조선 1) 거문도에서 울릉도와 “독섬”까지 2) 오키노시마의 쿠미에서 울릉도와 리앙코우(다케시마)까지 4. 자원: 음식, 진상품, 군수품, 상품 1) 보찰 2) 가지와 강치 5. 토속지명과 지도 6. 결론
4장 21세기 한국사회의 미디어 지형 변동 / 윤석민·오형일 1. 연구 배경과 목적 2. 사회적 소통 구조와 미디어 1) 미디어의 개념과 유형 2) 미디어 지형 변동의 방향 3. 21세기 한국사회의 주요 미디어 동향 1) 신문 2) 텔리비전 3) 인터넷 4) SNS 4. 결론
제5장 기후변화와 한국의 대응 전략 / 유근배 1. 서론 2. 동아시아의 기후변화 1) 기후변화의 현황과 원인 2) 아시아의 기후변화 3) 한국의 기후변화 3. 기후변화와 관련된 국제정치환경의 변화와 한국의 대응 1) 기후변화협약의 진전 2) 교토의정서 3) 주요 국가의 대응 기조 4) 한국의 대응 기조 4. 기후변화 대응 전략 1)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의 역할 분담 2) 사회 환경교육의 강화를 통한 기후변화 대응의 일상화 3) 아시아 협력네트워크 강화를 통한 공동의 시각 공유 5.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