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조선족 문학의 현주소를 살펴보고자 했으며 중국 조선족 문학의 연구 성과들을 중국학계와 공유하고 중국학계에서 조선족 문학 연구의 담론을 생산함으로써 중국에서 조선족 문학의 존재를 확인하고 조선족 문학의 위상을 확립하기 위한 것이 이 책의 기획 의도이자 출발점이다.
목차
책을 펴내며
제1부 중국 학자가 본 조선족 문학 조선족 소설 속의 한국과 한국인 / 최삼룡 1. 머리말 2. 한국과 한국인이 보이는 첫 단편, 중편, 장편 3. 한국과 한국인을 제재로 한 소설 창작의 발전 4. 한국과 한국인 제재 소설에서 새로운 탐구 5. 대화와 소통에 대한 이야기 6. 맺음말 박선석 소설연구 : 장편소설에 대한 대중적 호응의 양상과 의의를 중심으로 / 박춘란 1. 대중작가 박선석의 문학지향 2. 대중적 호응의 양상과 의의 3. 박선석문학 평가 전환기 조선족 사회와 문학의 새로운 풍경 / 김호웅 1. 머리말 2. 전환기 조선족 사회의 구조적 변화 3. 다문화환경과 조선족 문학 4. 전환기 조선족 문학의 창작주체와 창작상황 5. 전환기 조선족 문학의 주제경향, 창작방법과 예술형식의 변화와 실험 6. 맺음말 중국 조선족 문학과 중국어 창작 : 리근전의 중국어 창작과 번역 발표를 중심으로 / 이해영 1. 중국 조선족 문학의 현재 2. 중국어 창작의 의미 3. 번역 발표의 의미 4. 중국 조선족 문학의 좌표 설정 문제 5. 중국 조선족 문학의 향후의 과제 『바람꽃』을 통해 본 조선족 정체성의 변이양상 / 한홍화 1. 조선족 정체성의 연구 현황 2. 동질감의 정체성과 ‘뿌리 의식’ 3. 정체성의 갈등과 ‘회귀 의식’ 4. 이중적 정체성의 발견과 ‘극복 의식’ 5. 『바람꽃』이 갖는 가치와 한계
제2부 한국 학자가 본 조선족 문학 한중수교 이후 조선족 소설에 나타난 삶과 의식 / 최병우 1. 한중수교와 조선족 2. 공동체의 와해와 가치관의 혼돈 3. 한국 체험과 정체성의 재확립 4. 관내로의 이주와 고향 만들기 5. 조선족 사회의 현실과 전망 1990년대 이후 중국 조선족 소설에 나타난 근대성 극복의식 : 허련순 소설 『누가 나비의 집을 보았을까』를 중심으로 / 오승희 1. 조선족 소설의 근대성 비판 2. 시간과 공간의 경계 부정 3. 인간 존재에 대한 물음 4. 탈경계 정체성의 재현과 의미 문화대혁명의 발생과 중국 조선족의 대응 : ≪연변일보≫ 게재 소설을 중심으로 / 차희정 1. 중국 조선족, 중국 조선족 문학과 문화대혁명 2. 지속적 계급투쟁, 대한족화(大漢族化)에의 조응 3. 사상의 찬양과 선전, 체제의 내면화 4. 투쟁성 강화를 통한 소수민족으로서의 재기 5. ‘공민’으로서의 혁명 지원과 투쟁의 사상화 석화 시에 나타난 중국 시장경제 이후의 조선족 문화 정체성의 위기 : 시집 / 연변』을 중심으로 / 서준섭 1. 당대 중국 조선족 문단의 대표 시인 석화와 그의 작품 2. 석화 시의 전개와 ‘개혁 개방’ 경험의 시적 변용: 첫 시집에서 『세월의 귀』까지 3. 시장경제의 확산 이후 연변 조선족 사회의 불안과 희망: 연작시 「연변」(2000년대) 4. 지구적 문화와 소수자(소수민족) 문학(문화)의 정체성 문제 ‘중국 조선족’ 소설의 분단 현실 인식과 고통을 넘어 연대성 모색하기 / 임경순 1. 중국 조선족, 소설 그리고 분단 현실 2. ‘중국 조선족’과 분단 현실을 넘어서기 위한 고통의 삶 3. 한국전쟁과 분단 현실 인식의 한계와 가능성 4. 분단 현실을 넘는 연대성 모색의 방향 5. 새로운 인류사를 모색하기 위하여
서가브라우징
趙緯韓의 삶과 文學2000 / 閔永大 지음 / 國學資料院
조정래의 시선2014 / 조정래 저 / 해냄출판사
조정래의 시선2014 / 조정래 저 / 해냄출판사
조정래의 시선2014 / 조정래 저 / 해냄출판사
카이로스의 문학2006 / 조정환 지음 / 갈무리
시인의 교실2014 / 조향미 씀 / 교육공동체 벗
시인의 교실2014 / 조향미 씀 / 교육공동체 벗
중국에서의 조선족 문학 = Korean-Chinese literature in China2014 / 중국해양대학교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사업단 편 ; 책임편집: 이해영, 한홍화 ; [집필]: 최삼룡, 박춘란, 김호웅, 최병우, 오승희, 차희정, 서준섭, 임경순 / 경진
한국문학 속의 중국 담론 = (The) discourse on China in Korean literature2014 / 중국해양대학교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사업단,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HK한국문화연구단 공편 ; 책임편집: 이해영, 한홍화 ; [집필]: 김건곤, 황재문, 박명숙, 임명걸, 강상순, 박경남, 손성준, 이광재, 오태영, 차희정, 김성옥 / 경진
한국문학 속의 중국 담론 = (The) discourse on China in Korean literature2014 / 중국해양대학교 해외한국학 중핵대학 사업단,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HK한국문화연구단 공편 ; 책임편집: 이해영, 한홍화 ; [집필]: 김건곤, 황재문, 박명숙, 임명걸, 강상순, 박경남, 손성준, 이광재, 오태영, 차희정, 김성옥 / 경진
한·독문학의 비교문학적 연구 = Comparative research of Korea literature & German literature : 한국문학과 독일문학 비교연구2013 / 진상범 지음 / 박이정출판사
한·독문학의 비교문학적 연구 = Comparative research of Korea literature & German literature : 한국문학과 독일문학 비교연구2013 / 진상범 지음 / 박이정출판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