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머리말
제Ⅰ장 서론
제Ⅱ장 비교문학이란 무엇인가?
1. 비교문학의 개념
2. 비교문학의 두 흐름
1) 프랑스식 비교문학 방법론
2) 미국식 비교문학 방법론
3. 영향과 수용의 주체와 매체
1) 발신자
2) 수신자
3) 전달자
4. 주제학
제Ⅲ장 독일과 한국의 비교문학적 방법론 고찰
1. 독일의 비교문학방법론
2. 한국의 비교문학방법론
제Ⅳ장 독일문학이 한국근대문학에 끼친 영향
1. 서론
2. 독일 괴테(Goethe) 문학의 수용과 그 한국적 변용
1) 일본에서의 괴테 문학의 수용 양상
2) 괴테 문학의 한국적 수용
(1) 한국의 괴테 문학 수용사
(2) 번역을 통한 괴테 문학 수용
(3) 이광수와 염상섭 문학속의 괴테 서간체적 고백요소
(4) 이광수와 염상섭 문학에 나타난 괴테의 범신론적 세계관
3. 독일표현주의 수용과 그 한국적 변용
1) 서론
2) 독일표현주의 개념
3) 한국에 있어서 독일표현주의 수용양상
(1) 전신자를 통한 독일표현주의 이론의 수용
(2) 김우진과 이상 문학에 나타난 독일표현주의
제Ⅴ장 한국현대문학에 준 독일문학의 영향
1. 테오도르 슈토름, 토마스 만, 헤르만 헤세가 한국 김원일, 김원우, 이청준 문학에 끼친 영향
1) 토마스 만이 김원일과 김원우 문학에 준 영향
2) 테오도르 슈토름, 헤르만 헤세, 토마스 만이 이청준 문학에 준 영향
2. 카프카가 한국현대문학에 끼친 영향
1) 한국의 현대시문학의 경우
(1) 김승희의 「공포영화」
(2) 김광규의 「꿈과 잠」,「진혼가」,「유령」,「법원」
(3) 김진경의 「카프카에게」
(4) 이성복의 「꽃지는 아들」
(5) 이윤택의 「시간」
(6) 장정일(1962-)「길안에서의 택시잡기」,「가방을 든 남자」
2) 한국의 현대소설문학의 경우
(1) 김영현의 『벌레』
(2) 구효서의 「카프카를 읽는 밤」
(3) 최수철의 『매미의 일생』
제Ⅵ장 독일속의 한국문화수용양상
1. 독일인 한국동화와 민담번역을 통한 한국문화 수용
2. 독일어 창작을 통한 한국문화 수용양상
1) 이미륵의 문학작품을 통한 한국문화 수용
2) 윤이상의 오페라 작품『심청전』을 통한 한국문화의 수용 양상
3) 에카르트의 한국문학사 연구를 통한 한국문학 수용
제Ⅶ장 에밀 쉬타이거의 시학의 관점에서 한 독시문학에 나타난 다양성 속의 통일성의 시학 비교
1. 에밀 쉬타이거의 시학의 본질
2. 김소월의 시「진달래꽃」의 경우
3. 박목월의 시「나그네」의 경우
4. 괴테의 시「방랑자의 밤의 노래」의 경우
제Ⅷ장 주제학의 관점에서 한독문학에 나타난 사랑관, 한(恨)과 내면성 비교
1. 사랑관
2. 한국인의 한(恨)의 문학과 독일인의 내면성(內面性)의 문학 비교
제Ⅸ장 신화적 관점에서 한국과 독일문학의 비교
1. 신화적 관점의 기존 연구에 대한 비평적 고찰
2. 신화적 연구의 관점과 대상
3. 신화적 서사구조의 이론적 배경
1) 정신분석과 신화적 원형이론
2) 인류학적 이론
4. 한국과 독일서사문학의 성년식 서사구조 성립의 문화적 배경
1) 한국문학의 경우
2) 독일문학의 경우
5-1. 괴테의『파우스트』와 김만중의『구운몽』작품 비교 연구
1) 입사 단계: 파우스트의 메피스토펠레스와의 계약과 성진의 팔선녀 만남
2) 시련 단계: 파우스트의 그레첸과 성진의 팔선녀와 사랑 편력
3) 죽음 단계: 두 주인공의 사랑을 향한 욕망에 찬 삶에 대한 부인
4) 재생 단계: 파우스트의 기독교적 구원과 성진의 불교적 구원
5-2. 김성동『만다라』와 헤세『싯다르타』의 경우: 대승적 자유인과 도가적 인간상 탐구
1) 분리 단계: 지산의 수도승 입문과 고타마를 통한 사문세계 업적
2) 전이 단계: 지산과 싯다르타의 욕망으로 인한 방랑
3) 통합 단계: 대승적 자유인과 단일성을 각성한 도가적 인간상
4) 양 작가의 주인공을 통해 나타난 탐색과 성속의 서사구조 비교
5-3. 독일문학과 한국문학에 나타난 신화적 죽음과 재생의 이미지-신화적 죽음과 재생 이미지의 관점
1) 헤르만 헤세의 『싯다르타』와 『유리알 유희』의 경우
2) 한국의 고전소설 『심청전』과 김동리『무녀도』의 경우
제Ⅹ장 결론
□ 참고문헌
□ 부록: 한독비교문학연구 목록
□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