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제의 새 마음>의 저자의 또 한 권의 명저. 물리학, 수학은 물론이고 괴델의 논리학과 튜링의 컴퓨팅 기술, 생물학, 그리고 서양 철학의 근간이라고도 할 수 있는 플라톤의 이데아론까지 어렵지 않게 서술하면서 두뇌와 의식에 대한 탐구를 이끌어나간다.
목차
서문 감사의 말씀 독자에게 드리는 말씀 프롤로그
PART 1 마음을 이해하려면 왜 새로운 물리학이 필요한가? : 의식적 사고의 컴퓨팅 불가능성 1장 의식과 컴퓨팅 마음과 과학 로봇이 이 어지러운 세계를 구해낼 수 있을까? 컴퓨팅과 의식적 사고의 A,B,C,D 물리주의 대 심리주의 컴퓨팅: 하향식 절차와 상향식 절차 관점 C는 처치 - 튜링 명제에 어긋나는가? 카오스 아날로그 컴퓨팅 비컴퓨팅적 활동이란 어떤 것인가? 미래는 어떻게 되는가? 컴퓨터는 권리나 책임을 지닐 수 있는가? ‘인식’, ‘이해’, ‘의식’, ‘지능’ 존 설의 주장 컴퓨팅 모델의 몇가지 문제점 현재의 AI에 깃든 한계를 이유로 C가 옳다고 할 수 있는가? 괴델의 정리에서 나온 주장 플라톤주의인가 신비주의인가? 왜 수학적 이해가 관련되는가? 괴델의 정리는 상식적 행동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마음속 시각화와 가상현실 수학적 상상은 비컴퓨팅적인가? 2장 괴델식 주장 괴델의 정리와 튜링 기계 컴퓨팅 멈추지 않는 컴퓨팅 컴퓨팅이 멈추지 않을 것임을 어떻게 알아내는가? 컴퓨팅족과 괴델-튜링 결론Y Y에 던질 만한 기술적 반론 수학적으로 더 깊이 살펴볼 점 ω-무모순 상태 형식체계와 알고리듬적 증명 Y에 추가로 던질 만한 기술적 반론 3장 수학적 사고의 컴퓨팅 불가능성 괴델과 튜링은 무슨 생각을 했는가? 견실하지 않은 알고리듬이 수학적 이해를 알 수 있게끔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가? 알수있는 알고리듬이 수학적 이해를 알 수 있게끔 시뮬레이션할 수 있는가? 수학자들은 견실하지 않은 알고리듬을 자신도 모르게 이용하는가? 어떤 알고리듬이 알 수 없는 것일 수 있는가? 자연선택 또는 신의 행위 하나의 알고리듬 아니면 다수의 알고리듬? 속세를 등진 비밀스런 수학자들의 자연선택 학습하는 알고리듬 환경은 비알고리듬적인 외적 요소를 제공할 수 있는가? 로봇은 어떻게 배울 수 있는가? 로봇은 ‘확고한 수학적 믿음’을 얻을 수 있는가? 로봇 수학의 바탕을 이루는 메커니즘 기본적 모순 모순을 극복할 방법 로봇이 M을 믿어야 할 필요가 있는가? 로봇 오류 그리고 로봇 ‘의미’? 무작위성을 포함시키는 방법 - 로봇 활동의 온갖 양상들 틀린 ☆ - 언명의 제거 유한하게 많은 ☆m-언명들만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보호 조치의 적절성? 카오스가 마음의 컴퓨팅 모델을 구해낼 수 있는가? 귀류법 - 상상의 대화 우리는 모순적인 추론을 사용하지 않았는가? 수학적 증명의 복잡함 루프에서 빠져나오기 하향식 또는 상향식 컴퓨팅 수학? 결론
PART 2 마음을 이해하려면 어떤 새로운 물리학이 필요한가? : 마음의 비컴퓨팅적 물리학을 찾아서 4장 마음은 고전물리학에서 다룰 수 있는 것인가? 마음과 물리법칙 컴퓨팅성 그리고 오늘날 물리학의 카오스 의식: 새로운 물리학 아니면 ‘창발 현상’? 아인슈타인 기울어짐?(tilt) 컴퓨팅과 물리학 5장 양자세계의 구조 양자론: 수수께끼와 역설 엘리추 - 베이드먼 폭탄 검사 문제 마법의 12면체 EPR 유형의 Z - 불가사의의 실험적 상태 양자론의 기반암: 특이한 역사 양자론의 기본 규칙들 유니터리 진행 U 상태 벡터 축소 R 엘리추 - 베이두먼 폭탄 검사 문제의 해답 스핀의 양자론, 리만 구면 입자의 위치와 운동량 힐베르트 공간 힐베르트 공간에서 R을 기술하기 가환 측정 양자역학적 ‘그리고’ 곱 상태의 직교성 양자 얽힘 마법의 12면체 해설 6장 양자론의 실재 R은 실제 과정인가? 다세계 유형의 관점들 Ψ>를 진지하게 여기지 않기 밀도 행렬 EPR 쌍에 대한 밀도 행렬 R에 대한 FAPP 설명? FAPP는 절댓값 제곱 규칙을 설명하는가? 상대 벡터를 축소시키는 것은 의식인가? Ψ>를 정말로 진지하게 여기기 중력적으로 유도된 상태 벡터축소? 절대 단위 새로운 기준 7장 양자론과 두뇌 두뇌 기능에 거시 규모의 양자 활동이 깃들어 있다? 뉴런, 시냅스 그리고 컴퓨터 양자 컴퓨팅 세포골격과 미세소관 미세소관 내부의 양자 결맞음? 미세소관과 의식 마음에 관한 모델? 양자중력의 비컴퓨팅성: 1 신탁 기계와 물리 법칙들 양자중력의 비컴퓨팅성: 2 시간 그리고 의식적 지각 EPR과 시간: 새로운 세계관이 필요하다 8장 의미? 인공지능형 ‘장치’ 컴퓨터가 잘하는 또는 잘 못하는 일 미학적 자질 등 컴퓨터 기술에 내재된 위험 교모하게 조작된 선거 의식의 물리적 현상? 세 가지 세계와 세 가지 불가사의
에필로그 부록 후주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통합과학 교과서 뛰어넘기. 2 과학적 상상력과 문제해결력을 높여주는 2020 / 신영준 외 지음 / 해냄
통합과학 교과서 뛰어넘기. 2 과학적 상상력과 문제해결력을 높여주는 2020 / 신영준 외 지음 / 해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