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6
제1장 서론:융합의 시대가 오고 있다 15
제2장 융합문명의 출현 배경 및 동향 21
1.출현 배경 21
2.미디어 세계의 변화상 31
3.생활환경의 변화 33
4.내적 의식세계의 변화 36
5.시간적․공간적 인식의 변화 42
6.소결: 융합적 질서를 찾아서 46
제3장 융합시대의 문명론적 이해 49
1.문명론적 시각 49
2.문명의 동역학 51
3.인류 문명의 패러다임적 재조명 59
4.소결: 융합 논리의 재구성 66
제4장 융합문명의 시원 67
1.정보혁명 67
2.디지털 기술 79
3.디지털시대의 기술사회구성체 89
4.소결: 기술융합의 사회적 확장 95
제5장 융합시대의 미디어와 사회 97
1.미디어 기술과 사회 97
2.미디어 경관(Media-Scape)의 변모 101
3.미디어 기반 사회 109
4.미디어 기반 사회의 향방 118
5.소결: 미디어는 사회다(Medium is Society) 130
제6장 디지털 융합의 사회적 파장 133
1.사회체계의 유연화 133
2.사회 유연화의 배태 요인 135
3.사회 유연화의 파급효과 140
4.생활영역 및 생애주기의 탈경계화 157
5.유연사회의 빛과 그늘 161
6.소결: 기술주의의 초극 165
제7장 새로운 소통질서의 모색 167
1.융합미디어의 시대 167
2.미디어와 소통양식의 이중주 170
3.주류적 시각: 하버마스의 의사소통행위이론 174
4.대안적 관점: 인본적 소통합리성 187
5.소결: 보편주의의 성상(聖像)을 넘어서 190
제8장 융합의 영역별 개황 193
1.기기 융합 195
2.매체 융합 198
3.콘텐츠 융합 201
4.조직적․산업적 융합 206
5.제도적 융합 209
6.문화적 융합 212
7.의식적 융합 216
8.신체적 융합 218
9.소결: 융합적 삶(Vita Convergens) 220
제9장 융합문명의 특성과 동학 223
1.초복잡계로서의 융합계 224
2.복잡계와 융합계 228
3.융합사회의 후속적 시나리오 230
4.고형사회→유동사회→파동사회 239
5.소결: 연결이 창조의 원동력 242
제10장 융합시대의 도전과제 245
1.융합문명의 지속가능성 245
2.잉여의 문제 247
3.불균형의 문제 252
4.난제의 융복합화 257
5.대응방향 258
6.소결: 융합 엔트로피의 축소 265
제11장 융합시대의 정책적 구상 267
1.융합시대의 미디어 정책 267
2.융합시대의 사회정책에 관한 열두 가지 명제 291
제12장 맺음말:포용적 융합사회를 향하여 311
•참고문헌• 315
•찾아보기• 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