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개정판을 내면서
저자 서문
예문 사용상의 규약
제1장 머리말
1.1 중국어족
1.2 중국어 음운론
제2장 유형론적 특성(Typological Description)
2.1 단어의 구성 : 고립어로서의 중국어
2.2 단어의 음절수 : 단음절성
2.3 화제의 부각
2.4 어순
제3장 단어의 구조(Word Structure)
3.1 형태론적 결합방식
3.2 복합어
제4장 단순서술문(Simple Declarative Sentence)
4.1 화제와 주어
4.2 명사구
4.3 동사구
제5장 조동사(Auxiliary Verb)
5.1 조동사와 동사
5.2 조동사와 부사
5.3 조동사 일람표
제6장 상(Aspect)
6.1 완료상
6.2 지속상
6.3 경험상
6.4 잠시상
6.5 요약
제7장 문말조사(Sentence-Final Particle)
7.1 ‘了₂’
7.2 ‘呢’
7.3 ‘吧’
7.4 ‘呕’
7.5 ‘啊/呀’
7.6 결론
제8장 부사(Adverb)
8.1 이동성 부사
8.2 비이동성 부사
8.3 부정과 부사
8.4 부사와 把-구문
8.5 수량부사구
제9장 개사/전치사(Coverb/Preposition)
9.1 개사의 기능
9.2 개사 일람표
제10장 간접목적어와 수혜자(Indirect Object and Benefactive)
10.1 반드시 ‘给’가 와야 하는 경우
10.2 ‘给’의 사용이 수의적인 경우
10.3 ‘给’를 취할 수 없는 동사
10.4 외견상의 간접목적어
10.5 간접목적어의 용법에 대한 설명
10.6 동사 앞에 오는 간접목적어와 수혜명사구
10.7 ‘给’의 기타 기능
제11장 처소구와 방향구(Locative and Directional Phrase)
11.1 처소구
11.2 ‘到’를 쓰는 방향구
제12장 부정(Negation)
12.1 부정사의 위치와 부정의 범위
12.2 ‘不’와 ‘没’의 기능
12.3 ‘没(有)’는 과거시제 부정사가 아니다
12.4 부정과 상
12.5 단순동사구 이외의 요소의 부정
12.6 요약
제13장 동사의 복사(Verb Copying)
13.1 동사가 복사되는 위치
13.2 동사복사구문의 문법적인 특징
제14장 명령문(The Imperative)
제15장 把-구문(The 把 Construction)
15.1 把-명사구
15.2 처치
15.3 주어가 없는 把-구문
15.4 把…给 구문
15.5 把-구문 사용상의 조건
제16장 被-구문(The 被 Construction)
16.1 용법과 기능
16.2 구조적인 특성
16.3 ‘把’와 ‘被’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16.4 변이형식
제17장 제시문(Presentative Sentence)
17.1 존재동사와 자세동사
17.2 이동동사
제18장 의문문(Question)
18.1 의문문의 네 가지 유형
18.2 의문사 의문문
18.3 선택의문문
18.4 부가의문문
18.5 조사의문문
18.6 A-not-A 의문문과 조사의문문의 차이점
18.7 의문문이 주어이거나 동사의 직접목적어인 경우
18.8 질문에 대한 대답
제19장 비교(Comparison)
19.1 비교구문
19.2 최상급
제20장 명사화(Nominalization)
20.1 명사구로 기능하는 명사화 구문
20.2 중심명사를 수식하는 명사화 구문
20.3 ‘是~的’ 구문
제21장 연동구문(Serial Verb Construction)
21.1 두 개 이상의 독립된 사건
21.2 동사구/절이 다른 동사의 주어 혹은 직접목적어인 경우
21.3 겸어 구문
21.4 서술절
21.5 요약
제22장 정태보어구문(Complex Stative Construction)
22.1 추론된 의미
22.2 일반적인 구조적 특성
제23장 문장연결(Sentence Linking)
23.1 선행연결
23.2 후행연결
제24장 담화 속의 대명사(Pronoun in Discourse)
24.1 영대명사
24.2 대명사
24.3 영대명사의 통사적 제약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