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중요성이 높아져가는 통섭학의 관점에서 인문학, 여가관광학, 교육학, 문화인류학, 심리학 등 다학제적 접근을 통해 재미의 연원에서부터 재미 심리의 몰입과 뇌과학적 원리, 재미의 활용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주제를 심층적으로 다루고 있다.
머리말
프롤로그 재미에 관한 불편한 진실 1. 삶속 재미의 현실 1) 낮은 행복지수 2) 열악한 여가활동 수준 3) 증가하는 우울증, 자살률 2. 재미는 □이(가) 아니다. 1) 재미는 ‘노는 것’이 아니다 2) 재미는 ‘여가’가 아니다 3) 재미는 ‘일회용’이 아니다 4) 재미는 ‘일상’이다
Ⅰ. 재미란 무엇인가? 1. 재미가 필요한 이유 1) 재미 추구 배경 2) 재미의 동기 2. 재미의 개념과 범위 1) 재미의 범위 2) 제외되어야 할 영역 3. 분야별 재미의 이해 1) 기존 선행 연구 2) 재미 개념에 대한 다양한 견해들 3) 재미의 사전적 정의 4. 재미 정의와 유사 개념 1) 재미의 포괄적 정의 2) 재미의 유사 개념
Ⅱ. 재미의 구조와 원리 1. 재미의 구성요소와 발현조건 1) 재미의 외적 구성요소 2) 재미 요소 3) 매개물의 속성 4) 재미의 내적 구성요소 2. 재미의 유형, 효과, 차이 1) 재미의 유형과 특성 2) 재미의 효과 3) 재미의 차이 유발요소 - 주관성 3. 재미의 심리 상태 - 몰입 1) 서사 몰입 2) 학습 몰이 3) 가상현실 몰입 4) 미디어 몰입 4. 재미와 뇌 1) 뇌 구조와 기능 2) 신경세포와 신경전달물질 3) 쾌락중추와 재미의 신경생리학적 기제 4) 재미와 뇌신경 가소성 Plasticity
Ⅲ. 재미의 세부 영역 1. 놀이와 재미 1) 놀이의 개념과 유형 2) 놀이의 유용성 2. 게임과 재미 1) 디지털 게임의 특성 2) 게임의 이야기적 특성 3) 게임의 재미 요소 4) 장르별 재미 요소 5) 게임의 차별적 재미 요인 3. 이야기와 재미 1) 이야기의 상관 개념 2) 이야기의 재미 구성요소 3) 이야기의 재미 원리 4. 유머와 재미 1) 유머의 개념과 특성 2) 유머의 재미 원리 - 유머 이론 3) 이야기의 재미 원리 4) 유머의 주관성 5) 유머와 뇌 5. 배움과 재미 1) 배움의 개념과 특성 2) 배움의 재미 구성요소 3) 배움의 재미 원리 4) 배우는 재미의 지속가능성 6. 소통과 재미 1) 소통의 개념 2) 소통의 재미 구성요소와 재미 원리 3) 소통의 경계 요소 4) 미디어의 재미 5) 소셜 미디어와 모바일 미디어의 재미
Ⅳ. 재미의 활용 재미는 문제해결 수단이다. 1. 폭스바겐사의 재미이론 Fun Theory 1) 피아노 계단 사례 2) 세계에서 가장 깊은 휴지통 사례 3) 빈병 수거함 사례 2. 퀘스트투런 Quest to learn 1) 설립 배경과 커리큘럼 2) 수업 내용과 평가 방식 3. 퍼놀로지 Funology 1) 일반 상품 분야 2) 콘텐츠 분야 3) 서비스 분야
에필로그 재미있는 삶을 위한 제언 1. 호기심을 죽이지 마라. 2. 남들과 다름을 추구하라. 3. 재미의 균형을 잡아라.
참고 문헌 색인
생각의 융합 : 인문학은 어떻게 콜럼버스와 이순신을 만나게 했을까2015 / 김경집 지음 / 더숲
인문학은 밥이다2013 / 지은이: 김경집 / RHK알에이치코리아
청춘의 고전 : 생각하는 젊음은 시들지 않는다2014 / 김경집 지음 / 지식너머
엄마 인문학: 공부하는 엄마가 세상을 바꾼다2015 / 지음: 김경집 / 꿈결
인문학은 행복한 놀이다 : 질문하고 상상하고 표현하라2013 / 김무영 지음 / 사이다
하루 한 줄 고전 인문학: 고전을 가까이하는 자는 절대 망하지 않는다2021 / 김병완 지음 / 북씽크
군주의 거울 : 키루스의 교육 = Speculum regia cyropaedia : 아포리아 시대의 인문학-그리스2016 / 김상근 지음 / 21세기북스(북이십일 21세기북스)
재미의 본질 = (The) nature of fun : 재미란 무엇인가2013 / 김선진 지음 / 경성대학교 출판부
김영란의 책 읽기의 쓸모2016 / 김영란 / 창비
마을로 간 인문학2014 / 김영선 ; 이경란 엮음 / 당대
상처의 인문학 = The humanities of the wound : 삶을 위로하는 가장 인간적인 문학 사용법2017 / 지음: 김욱 / 다온북스
인문학의 뿌리를 읽다2016 / 김헌 지음 / 이와우
천년의 수업 : 나와 세상의 경계를 허무는 9가지 질문 2020 / 지음: 김헌 / 다산초당 :
돌봄 인문학 수업 : 인간다움에 대해 아이가 가르쳐준 것들2019 / 지음: 김희진 / 위즈덤하우스
취향은 어떻게 계급이 되는가 2024 / 지음:나영웅 / 지음미디어
에디톨로지 : 창조는 편집이다2015 / 김정운 지음 / 21세기북스
FBI 행동의 심리학 : 말보다 정직한 7가지 몸의 단서2010 / 조 내버로 ; 마빈 칼린스 공저 ; 박정길 옮김 / 웅진씽크빅
스토리 전쟁 : 이야기 종결자가 미래를 지배한다2013 / 조나 삭스 지음 ; 김효정 옮김 / 을유문화사
왜 젊은 뇌는 충동적일까 : 성장하는 뇌, 삶을 변화시키는 똑똑한 습관의 발견2015 / 제시 페인 지음 ; 엄성수 옮김 / 21세기북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