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문장성분, 어문, 생략, 실사의 활용, 수량의 표시, 대사의 운용, 여러 가지 허사, 이렇게 7가지 핵심 주제로 나뉘어 있는데 이에 관한 네 가지 학습 방향을 제시한다. 이 네 가지 방향에 중점을 둔다면 좀 더 효율적으로 고대어법을 학습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서론
一. 고대한어에서의 두 가지 흐름
二. 학습의 방향과 방법
제1강 문장성분
一. 주어, 술어와 빈어
二. 부사어와 보어
三. 구(句)가 문장성분이 되는 경우
四. 문장구조의 소략함에서 치밀해짐
제2강 어순(語順)
一. 빈어(賓語)의 전치(前置
二. 개사빈어(介詞賓語)의 전치(前置)
三. 빈어(賓語)의 도치(倒置)
四. 술어 도치(倒置)
五. 한정어의 위치
六. 문장에서 수량사의 위치
七. 문장에서 개사구조의 위치
八. 고전시사(古典詩詞)에서 단어 순서(詞序)의 변환
제3강 생략
一. 주어의 생략
二. 술어의 생략
三. 빈어의 생략
四. 개사와 개사빈어의 생략
五. 한정어 수식의 중심사(中心詞) 생략
六. 기타 생략
제4강 실사의 활용
一. 명사가 동사로 활용되는 경우
二. 수사, 대사가 동사로 활용되는 경우
三. 형용사가 동사로 활용되는 경우
四. 명사, 동사, 형용사와 수사가 사역동사(使役動詞)로 쓰이는 경우
五. 명사, 형용사가 의동사(意動詞)로 쓰이는 경우
제5강 수량(數量)의 표시
一. 수(數)의 표현법
二. 양(量)의 표현법
三. 수사(數詞)와 양사(量詞) 결합의 표현 방식
제6강 대사의 운용
一. 인칭대사
二. 지시대사
三. 의문대사(疑問代詞)
제7강 여러 가지 허사(虛詞)
一. 허자(虛字)에 대한 종합 서술
二. 허자(虛字)의 요점 설명
맺음말. 고대한어 어법학습, 교학과 연구방향
一. 고대한어 문언문과 고백화 두 가지 지류 및 그 특징에 대한 고려
二. 문언문과 고백화의 역사적 지위 및 연구의 전체성에 대한 명확한 이해
三. 어법의 공시적(共時的) 연구와 통시적(通時的) 연구의 상호 결합
四. 어법연구와 어휘(語彙), 어음(語音)과 문자(文字)연구의 상호 협력
五. 언어자료에 대한 작업 강화와 학과(學料)방법론 통제
六. 고대한어 어법체계 임시 추측 가능성 확보
부록. 고대한어 어법연구의 세가지 논점
一. 어법연구의 네 개의 평면
二. 어법연구의 어휘연구와의 상호 협력
三. 고대한어 어법학의 이론 설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