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중동의 역사에 대한 '중동인의 시각'을 제시하는 책. 즉 서구인의 입장에서 본 왜곡되고 편협한 중동이 아닌, 중동인의 입장에서 바라본 중동의 역사를 설명하는 것이다. 중동 역사를 그 시대에, 그 장소에 살았던 중동인들의 시각에서 기술하고 있으며 고대부터 근대국가 출현 이전까지를 종합적으로 살펴봄으로써 역사의 흐름과 그에 따른 사건들의 유기적인 관계들을 가까이 접할 수 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중동과 중동인
1.지역
2.민족
3.종교
4.무슬림 아랍인
제2장 고대 중동
1.아시리아 제국과 아케메니드 제국
2.로마 지배에 대한 페르시아인과 유대인의 저항
3.자힐리야(Jahiliyya)
제3장 이슬람 제국의 등장
1.이슬람(Islam, Saracen)의 태동
2.이슬람 공동체와 정교일치
3.정통 할리파(al-Khulafa‘ al-Rashidun) 시대(632~661)
제4장 우마이야 왕조(Umayyah Dynasty: 661~750): 아랍 왕조, (백의)대식국
1.통치기반의 구축
2.제2차 내란과 아브드 알 말리크(‘Abd al-Malik)의 등장
3.정복사업과 행정개혁
4.이주 아랍인과 정복지 주민
5.제국의 분열
6.우마이야조의 멸망
제5장 압바시야 왕조(Abbasiyya Dynasty: 750~1258): 동할리파, 이슬람 왕조, (흑의)대식국
1.지중해 세계에서 아시아 세계로
2.이슬람 세계의 재통일과 바그다드 건설
3.통치, 행정, 군 조직
제6장 이슬람 세계의 분열
1.이슬람 서부 세계
2.이슬람 중·동부 세계
3.파티마 왕조(Fatimah Dynasty: 909~1171)
제7장 할리파제(制)의 정립과 변모
1.이슬람법(샤리아, Shari‘a)과 국가
2.할리파제의 변모
제8장 이민족의 유입
1.셀주크 투르크조(朝)
2.십자군 침입(1096~1270)과 지역 세력들의 대응
3.몽골족의 침입과 맘룩조(朝)
제9장 오스만 제국
1.제국의 기원
2.정복의 시대
3.관료조직과 군(軍) 양성제도
4.종교조직과 밀레트(Millet) 제도
5.제국의 쇠퇴
6.서방의 침투와 오스만의 개혁
제10장 오스만 지배 영역과 관련된 문제들
1.아랍 지역
2.유럽 지역: 민족주의 운동과 관련된 문제
3.무함마드 알리(Muhammad ‘Ali)의 이집트: 1830년대 시리아 위기와 1860년대 레바논의 새로운 정치체제 정착과 관련된 문제
4.크림 전쟁(The Crimean War, 1853년 10월~1856년 2월)
5.팔레스타인(Palestine)과 시오니즘(Zionism)의 대두
제11장 동방문제(the Eastern Question): 오스만 제국의 해체와 관련된 문제
1.동방문제의 의의와 기원
2.개입주체들
3.게임의 특성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