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기존의 사회적 자본에 관한 논의를 좀 더 심도 있게 보완했으며, 한국 시민사회단체의 성장과 과제, 그리고 정부의 역할과 과제 등에 대해서도 추가적이며 불필요한 것은 삭제한 개정판. 폭넓은 국내외의 이론적 시각과 정보를 제공하도록 노력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머리말
제1장 사회적 자본과 국정관리
제1절 사회적 자본에 대한 이론적 접근
1. 사회적 자본의 개념과 의의
2. 사회적 자본에 관한 학자들의 견해
3. 요약
제2절 국정관리와 사회적 자본
1.정부와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
2.국정관리에서 사회적 자본의 중요성
제3절 우리나라에서 국가 발전과 사회적 자본과의 관계
1. 우리나라의 사회적 자본 수준
2. 한국 사회에서 사회적 자본의 확충 방안과 그 효과
3. 정부와 시민사회단체와의 바람직한 파트너십 형성을위한 제언
제2장 NGO의 개념과 범주
제1절 NGO와 유사 용어의 정의
1. 국가별 개념의 차이
2. 이 책에서 NGO의 범위
제2절 NGO의 성장 배경과 특성
1. NGO의 2대 성장 배경
2. NGO의 일곱 가지 특성
3. NGO의 4대 기능
제3장 한국의 시민사회 형성 과정과 NGO
제1절 정부와 시민사회의 형성
1. 1945년 이전
2. 1945년~1980년
3. 1980년~1986년
4. 1987년~문민정부
5. 김대중 정부(1998~2003)
6. 노무현 정부(2003~2008)
7. 이명박 정부(2008~2013)
제2절 시민단체의 연혁과 NGO의 급성장
1. 주요 시민단체의 연혁
2. 한국에서 NGO의 급성장에 대한 여덟 가지 요인
제4장 NGO의 변화와 주요 활동
제1절 21세기 NGO의 변화
1. 시민사회 내부의 변화
2. 새로운 다중매체(SNS) 시대에서의 변화
제2절 1990년대 이후 시민운동단체의 주요 활동
1. 2000년 총선시민연대의 ‘낙천·낙선운동’
2. ASEM 2000 민간포럼
3. SOFA 개정운동
4. 2003년의 파병 반대, 여성과 환경운동의 분출
5. 한반도 대운하 반대운동
6. 평택 미군기지 이전 반대운동
7. 한·미 FTA협정 반대운동
8. 태안기름 유출사고
9. 광우병 파동
제3절 시민사회단체 간 이념 갈등의 확장
1. 신사회운동과 구사회운동의 분출
2. 진보단체와 보수단체의 갈등 분출
제5장 우리나라 NGO의 현황과 문제점
제1절 활동 현황 분석
1. 활동 유형별 분류
2. 활동 방식에 의한 분류
3. 재정 현황별 분류
4. 법적 자격에 의한 분류
5. NGO 상근 직원과 회원
제2절 우리나라 NGO들의 정책 영향력
1. 배경
2. NGO의 영향력에 대한 이론적 논의
3. 우리나라 NGO의 정책 영향력 행사에 관한 논쟁점
제3절 NGO의 공익활동 지원사업에 대한 평가와 과제
1. 정부의 공익활동 지원사업의 목적 및 평가
2. 정부의 공익활동 지원사업의 문제점 및 과제
제6장 정부-NGO의 파트너십
제1절 정부의 정책 과정 참여
1. 정책 과정에의 참여 의의
2. 정부와 NGO와의 관계 변화
3. 정책 과정에서 정부와 NGO
제2절 정부와 NGO 간의 파트너십
1. 등장 배경 및 개념
2. 파트너십형 사회구조로의 전환
3. 파트너십의 의의
4. 파트너십의 유형
제3절 NGO에 대한 중간 지원조직: 영국과 일본 사례
1. 영국
2. 일본
3. 영국과 일본 사례에서의 시사점
4. 우리나라에의 적용
제7장 NGO의 내부 거버넌스, 재정과 기부
제1절 조직 및 인력관리
1. 조직관리
2. NGO의 인적자원 관리
3. NGO의 의사결정 구조
제2절 NGO의 재정자율성과 의존성
1. 현황
2. 재정 자립을 둘러싼 두 가지 견해
제3절 기부
1. 개념
2. 기부의 의의
3. 기부의 유형
제8장 국제화 시대 NGO의 역할
제1절 글로벌 시민사회의 도래
1. 지구시민으로서의 개념
2. 우리나라에서 글로벌 시민사회의 키워드
제2절 글로별 시민사회에서 NGO의 역할과 방향
1. 한국 NGO의 방향
2. 국제적 연대의 강화
3. 지구시민으로의 전환
제3절 글로벌 NGO 사례
1. 월드비전
2. 그린피스(Green peace)
제9장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스
제1절 정부ㆍ시장ㆍ시민사회 간의 신뢰와 협동의 새로운 지평
1. 등장 배경
2. 개념
제2절 사회적 기업
1. 등장 배경
2. 사회적 기업의 개념과 특성
3. 사회적 경제와 사회적 기업
4. 사회적 기업의 역할
5. 사회적 기업의 유형
6. 우리나라 정부의 사회적 기업에 관한 지원 형태
7. 사회적 기업에 대한 비판
제3절 커뮤니티 비즈니스
1. 등장 배경
2. 개념과 정의
3. 사회적 기업과 커뮤니티 비즈니시와의 유사점과 차이점
4.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유형과 정부의 역할
제10장 일본 시민사회의 변화
제1절 일본 시민사회의 형성과 변화
1. 전후 태동 시기(1945년 이후)
2. 시민사회의 발전
3. 전통적 주민조직의 변화
제2절 정부 주도형에서 새로운 파트너십으로
1. 행정 주도형의 자원봉사 구축
2. 1990년 이후 정부와 시민사회단체와의 새로운 파트너십
3. 2009년 집권한 일본 민주당의 시민사회단체와의 파트너십
제3절 일본 시민사회의 유형별 특징
1. 전통적 주민조직
2. 일본 NPO와 특징과 개념
3. 전통적 주민조직과 NPO의 구분
제4절 정부와 시민사회 간의 공익법인 제도 도입
1. 사단법인ㆍ재단법인의 진화
2. 공익법인 개혁의 배경
3. 신공익법인제도의 도입과 변화
4. 공익사단법인ㆍ공익재단법인
참고 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