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이승만의 누명과 대한민국의 운명 / 인보길[〈뉴데일리〉발행인]
대한민국은 위대한 아버지를 버렸다 / 김길자[대한민국사랑회 회장]
건국대통령 이승만의 7대 업적 - 자유민주헌법, ‘독도는 우리 땅’ 교육 혁명 / 유영익[한동대학교 석좌교수]
이승만의 1923년 ‘공산당의 당부당當不當’ 논설 - 레닌혁명 직후 소련 공산주의 낱낱이 비판 / 손세일[언론인]
‘좌우합작’ 거부로 한국 공산화 막았다 - 미美 온갖 협박에도 “공산당과 손 못 잡아!” / 이주영[건국대 사학과 명예교수]
김대중·노무현 정권 10년 대한민국의 수모 - 그들은 이승만을 역사에서 지우려했다 / 양동안[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위대한 조선인이어서 위대한 세계인이 된 이승만 - 미국 대통령 앞에서 “저런 고얀 사람이 있나!” / 조갑제[조갑제 닷컴 대표]
이승만은 미국과 이렇게 싸웠다 - “한미 방위조약 안 맺으면 단독 북진” / 이도형[〈한국논단〉대표]
30만 달러 현상 붙은 사나이 / 〈뉴데일리〉 편집부
옥중집필 명저名著 『독립정신』은 어떤 책? - 29세 때 이미 대통령 철학 완성했다 / 김효선[〈한국논단〉편집위원]
인생 바꾼 한성감옥서 6년 - 모진 고문 속 첫 기도 / 유영익 저서│젊은 날의 이승만 (2002)에서 발췌
나라 세우기 X파일 - 이승만 없었다면 대한민국 없다 - “동유럽 공산화 뻔히 보면서 합작하라고?”
도서출판 기파랑이 펴낸 『대한민국 건국의 재인식』 - 건국사 바로보기,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만들기 / 온종림[〈뉴데일리〉기자]
망명지에서도 자나 깨나 ‘내 나라 걱정’ / 이인수[정치학 박사]
이승만 하야하던 날, 김정렬 전前 국방장관 증언 - “부정不正을 왜 해? 내가 그만둬야지”
4·19세대의 뒤늦은 고백 - ‘한민족의 모세’ 이승만 부활시키자! / 허문도[전 통일원 장관]
4·19의거의 역사적 평가 - 이승만도 ‘이승만 헌법’ 지키려 물러났다 / 류근일[〈뉴데일리〉고문]
이승만의 예지와 배짱 - 몇 세기에 한번 나타날 불세출不世出의 영웅 / 이도형[〈한국논단〉발행인]
이승만은 독재자가 아니다 - 왜 한국인은 자기네 위인을 모를까? / 로버트 올리버[이승만 대통령 정치고문]
이승만은 근본적으로 자유민주주의자 - 전쟁 중에도 한 번도 헌정중단 안 해 / 이주영[건국대 명예교수]
광복절 횟수 바로잡자 - 원래 광복절은 1948년 건국기념일 / 양동안[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대한민국 건국은 민주주의 혁명 - ‘소련 위성국’ 막아낸 세계 유일의 인물 / 김광동[나라정책연구원장]
이승만과 6·25, 나라 구하기 - “통일 기회 왔다. 오로지 북진 통일!” / 남정옥[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책임연구원]
프란체스카 여사가 쓴 6·25 비망록
웅변가, 선동가, 철야농성 투쟁 - ‘운동권 청년’ 이승만, 고종을 굴복시키다 / 인보길 정리[〈뉴데일리〉발행인]
이승만은 통합주의자, 그 반대세력들 - “공산주의든 민주주의든 하나로 뭉치자!” / 양동안[한국학중앙연구원 명예교수]
해방공간의 김구 - “김일성도 선생을 대통령으로 모시려고...” / 김효선[〈한국논단〉편집위원]
카이로 선언과 이승만 - ‘한국독립’ 조항, 루즈벨트와 통했다 / 김효선[〈한국논단〉편집위원]
미국의 ‘기피인물’ 이승만 - 미 국무성, ‘ 반소反蘇주의자’ 이승만 귀국여권 취소 / 인보길 정리[〈뉴데일리〉발행인]
이승만과 반공의 당위성 - 남북공산당, 전국서 테러ㆍ폭동ㆍ양민 학살 / 유동열[치안정책연구소 안보대책실 선임연구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