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1 본서의 활용법
2. 숨어 있는 다수의 천적들
2.1 병이란 무엇인가?
2.2 병원체의 분류
3. 병원체와 기생체에 대항하는 자연 발생적인 방어기작
3.1 회피
3.2 저항성
3.3 내성
4. 식물과 병원체의 상호작용 : 기본 개념
5. 저항성 기작의 다양성
5.1 서론
5.2 광범위 저항성
5.3 비기주 저항성
5.3.1 정의
5.3.2 기생 능력
5.3.3 기주 범위
5.3.4 분화형
5.3.5 비기주 저항성의 유전학
5.3.6 저항성 기작
5.4 기주 저항성
5.4.1 과민 저항성
5.1.1.1 작용기작
5.1.1.2 레이스 특이성
5.1.1.3 유전자 대 유전자 관계
5.1.1.4 유전학
5.1.1.5 저항성의 표현형 발현
5.1.1.6 저항성 유전자의 명명법
5.1.1.7 레이스
5.1.1.8 저항성의 지속성
5.4.2 부분 저항성
5.4.2.1 정의
5.4.2.2 부분 저항성의 구성요소
5.4.2.3 기작
5.4.2.4 균주 종에 대한 특이성
5.4.2.5 유전양식
5.4.2.6 지속성
5.4.2.7 잔류 저항성
6. 다양한 형태의 천적
6.1 척추동물
6.2 곤충 및 그 외 하등 동물
6.3 선충
6.4 기생 식물
6.5 (반)활물기생 곰팡이와 난강류
6.6 사물기생 곰팡이
6.7 유관속 시들음병
6.8 박테리아
6.9 Phytoplasma와 리케차
6.10 바이러스
6.11 바이로이드
7. 저항성 품종 만드는 방법
7.1 식물에서 저항성의 도입은 실제로 가치가 있는가?
7.2 저항성 유전자는 어디서 찾는가?
7.2.1 저항성의 출처
7.2.2.1 저항성의 재료로서의 비기주 저항성
7.2.2 대안 1 : 돌연변이를 통한 새로운 유전형 도입
7.2.3 대안 2 : 유전적인 변형
7.2.3.1 식물에서 저항성과 관련된 유전자
7.2.3.2 광범위 저항성 유전자
7.2.3.3 비식물 유래 유전자
7.2.3.4 병원체 유래 유전자
7.3 식물을 시험할 장소는
7.3.1 실내 또는 실외?
7.3.2 기내(In vitro) 선발
7.4 어떤 생육 상태에서 검정해야 하나?
7.4.1 유묘 vs. 성체
7.4.2 떼어낸 식물체의 일부
7.5 병원체를 접종하는 방법은?
7.6 어떻게 접종원을 구성하나?
7.6.1 균주의 혼합물
7.7 배양
7.8 어떤 측면을 평가해야 하는가?
7.8.1 양적 측면
7.8.1.1 감염의 양
7.8.1.2 저항성의 요소
7.8.1.3 피해의 평가
7.8.2 질적인 측면
7.8.2.1 거시적 : 감염 유형
7.8.3 조직학적인 측면
7.9 주의해야 할 위험성
7.9.1 조숙성의 차이
7.9.2 실험 구가 간의 간섭
7.9.3 접종원의 양
7.9.4 평가 시기
7.10 어떤 유형의 식물의 방어기작을 선택해야 하나?
7.10.1 회피
7.10.2 내성
7.10.3 광범위 저항성
7.10.4 과민 저항성
7.10.5 부분 저항성
7.10.6 요약
7.11 어떤 선발 과정을 택할 것인가?
7.11.1 육종 과정의 어떤 단계에서 선발할 것인가?
7.11.2 여교배
7.11.3 순환 선발
7.11.4 분자 마커의 활용
7.12 지속성이 없는 저항성을 어떻게 실용적으로 이용할 것인가?
7.12.1 서론
7.12.2 저항성 유전자 집적
7.12.3 다양화 전략
7.12.4 다중 계통과 품종 혼합
7.12.4.1 다중 계통
7.12.4.2 품종 혼합
7.12.5 종합적 방제
7.12.5.1 휴한기 이용
7.12.5.2 윤작과 식물위생
7.13 생물학적 방제력을 가진 저항성의 조합
용어 정리
참고 문헌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