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머리에
1부 최인훈 소설 다시 읽기
결정론과 자유 최인훈 소설 다시 읽기
1. 「광장」의 관념성의 기원
2. 자유로운 이성의 조건
3. 강요된 즐거움과 죄의식
4. 사랑과 타자의 자유
5. 지유와 윤리
신과 대면한 인간의 한계와 가능성 「라울전」과「아겔다마」
1. 절대적 조건과 대면한 인간
2. 주어진 운명과 스스로 찾는 운명
3. 신과 인간의 대립을 넘어선 구도의 길
4. 자기 윤리 정립의 가능성
해방공간의 나라 만들기와 가족로망스 「광장」
1. 「광장」의 서사적 중층성
2. 해방공간의 정치적 지향
3. 가족로망스의 업둥이, 사생아, 영웅
4. 「광장」과 「태풍」의 연속성
다시 쓴 나라 만들기와 가족로망스 「태풍」과「광장」
1. 탈식민주의적 관점의 보완
2. 식민주의 이데올로기와의 동일시
3. 부성적 권위의 붕괴
4. 실존적 문제와 정치적 문제의 갈등
5. 역사적 과제로서의 민족국가
2부 1960년대 작가 연구
1960년대 소설과 자의식의 드라마
1. 자의식의 형성과 타자성
2. 부자유에 대한 죄의식과번어적 태도
3. 가해자 / 피해자의 역할 바꾸기와 책임 회피
4. 죄의식을 방어하기 위한 자기 은폐
5. 타자성과 죄의식의 1960년대적 맥락
타율성과 책임 1960년대 서정인 소설
1. 사건의 타자성
2. 주체의 타율성과 책임
3. 자기기만과 아이러니
4. 타자성에 대한 지속적 탐구
죄의식과 위악 김승옥의 중단편소설
1. ‘자기 세계’의 내적 구조
2. 상상적 왕국의 붕괴와 죄의식
3. 위악과 책임 회피
4. 자유와 책임
언어의 정치학과 문학의 수행성 1960~70년대 이청준 소설
1. 언어의 수행성에 대한 인식
2. 언론과 문학의 자유에 대한 억압
3. 작가와 독자 혹은 수행적 언어로서의 문학
4. 수행적 언어에 의해 매개되는 정치
5. 1960-70년대와 언어의 정치학
박태순 소설과 이동성 mobility
1. 유동하는 세계를 이동하는 주인공
2. 도시 거리에서의 모험과 방황
3. 인생유전과 진정한 모험
4. 이동성에 대한 의미화의 과제
3부 전쟁, 애도, 윤리, 역사
전쟁과 죄의식 1950년대 손창섭 소설
1. 작가의 인간관과 전후 상황
2. 인물의 성격으로서의 죄의식이 형성
3. 성격과 전후 상황을 매개하는 죄의식
4. 죄의식을 통한 윤리적 문제 제기
5. 죄의식의 상상적 해결
상실과 애도 박완서의 전쟁 체험 소설
1. 오빠의 망령
2. 상실에 대한 주체적 반응으로서의 애도
3. 오빠의 상실이 지닌 상징적 의미
4. 상실에 대한 죄의식, 상실과 함께 머물기
5. 종결되지 않는 애도
사실과 당위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 공’ 연작
1. 현실 반영 이상의 의미
2. 사실과 당위 - ‘누가 깨끗하고 더러운가’와 ‘누가 씻을 것인가’
3. 계산(수학)이 제기하는 당위의 문제
4. 이데올로기적 오인에 대한 비판
5. 사실 너머의 당위의 가능성
소설과 역사 재현 「암태도」
1. 역사소설적 상상력
2. 서사와 역사 재현의 관계
3. 농민의 주체성에 대한 각성
4. 사회적 조건에 대한 인식
5. 결말 이후에 남은 문제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