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이번에 발간한 5권에는<권두논문> ‘高句麗積石塚과 百濟의 建國’ (최몽룡, 백종오)을 시작으로 ‘Thirty Years of Research but a Handful of Meaningful Data’(유용욱), ‘강원지역 동굴 유적의 고고학적 함의’(노혁진), ‘백제의 말 사육에 대한 새로운 자료’ (권오영), ‘茶戶里古墳群의 재검토’(송의정), ‘ <삼국사기> 온조왕본기의 主體에 대한 再解釋’ (이도학), ‘풍납토성과 백제’ (신희권) 등 총 22편의 논문이 실려 있다.
목차
사진
<致賀書> 北京大學 李伯謙 敎授의 崔夢龍敎授退職紀念致賀書(傳道授業平生樂 桃李芬芳自堪慰)
서문 - 나의 人生과 學問: 21세기의 한국고고학 Vol. V 完結編에 부쳐 - / 최몽룡
<권두논문>
高句麗積石塚과 百濟의 建國 / 최몽룡, 백종오
Thirty Years of Research but a Handful of Meaningful Data / 유용욱
강원지역 동굴 유적의 고고학적 함의 / 노혁진
강원 동해안 지역 전기 청동기문화 소고 / 최종모
초기철기시대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 최성락
茶戶里古墳群의 재검토 / 송의정
풍납토성과 백제 / 신희권
百濟 金銅冠의 제작 방식과 지방 지배 / 이 훈
백제의 말 사육에 대한 새로운 자료 / 권오영
6~7世紀 新羅土器를 통해 본 漢江流域의 新羅化 過程 / 강진주
茶戶里古墳群의 재검토 / 최병식
화성지역 중세 건축유적의 검토 / 양정석
신창동유적의 식물이용 양식 / 안승모, 조현종
백제 와전문화의 형성과 전개과정 / 윤용희
백제 출토 중국 도자 / 김영원
小黑石溝 유적과 夏家店 상층문화의 새로운 이해 / 박양진
遼寧地域의 靑銅器文化와 北方 靑銅器文化 間의 相互 作用과 交流 樣相 / 오강원
‘『삼국사기』 온조왕본기’의 主體에 대한 再解釋 / 이도학
Микропластинчатые индустрии в Северной Азии и Китае(북아시아와 중국의 세형돌날문화) / А.П. Деревянко
АМУРСКИЙ БАССЕЙН В ЭПОХУ НЕОЛИТА(아무르강 유역의 신석기시대) / В.Е. МЕДВЕДЕВ
К этногенезу культур эпохи бронзы на юге Западной Сибири(고고학, 형질인류학, 유전학으로 바라본 서시베리아 남부의 청동기시대 문화) / Молодин В.И., Чикишева Т.А., Пилипенко А.С.
АНАЛИЗ РАННЕНЕОЛИТИЧЕСКОЙ КЕРАМИКИ ВОСТОКА АЗИИ(한국, 러시아지역 원시고토기의 분석) / Л.Н. Мыльникова, С.П. Нестеров
편집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