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저자 인사말 이 책을 읽는 한국의 젊은 독자 여러분께
머리말 "히라타 오리자의 현대구어 연극론"을 펴내며
제1부 현대구어 연극을 위하여
1. 연극은 가능한가?
[1] 연극이란 무엇인가
[2] 연극이라는 거짓
[3] 근대사상과 리얼리즘
[4] 예술의 필연
[5] 연극과 영상
[6] 무위(無爲)의 연극
[7] 정리
2. 연극과 말에 관하여
[1] 주어·술어의 연극으로부터 조사·어미의 연극으로
[2] 어순에 관한 고찰
[3] 억양에 관한 고찰
3. 연기에 관하여
[1] 희곡작작, 연출가, 배우의 역할
[2] 배우의 작업
[3] 자유의 범위
[4] 역할의 추상화
[5] - 답게 보여주는 연극, - 처럼 보이는 연극
[6] 거리감에 관하여
[7] 연출가의 역할
4. 집단론 - 우리 극단 세이넨단(靑年団)
[1] 배우는 교환 가능한가
[2] 위계질서
[3] 배우의 책임
[4] 세이넨단의 기본 이념
[5] 개인의 확립을 하이테크놀로지가 뒷받침한다
[6] 연습의 풍경
[7] 공간과 연극-이고라극장
[8] 언젠가 배우게에 배신 당한다
5. 마치며 - 또다시, 연극은 가능한가?
제2부 새로운 도시의 연극을 위하여
도시에 축제는 필요없다
이야기를 시작하며
[1] 근대연극이란 무엇인가
[2] 현대연극이란 무엇인가
[3] 전달하고 싶은 것은 아무것도 없다 / 표현하고 싶은 것은 얼마든지 있다
[4] ‘나’란 무엇인가
[5] 관객의 다양성
[6] 관객이 늘지 않는다
[7] 크리스마스 이브의 객석
[8] 도시에 축제는 필요 없다
[9] 도시와 프로테스탄티즘
[10] 타이거마스크는 필요 없다
[11] 미(美)의 민주화
[12] 미(美)의 권력성
[13] 예술의 새로운 사회적 역할
[14] 현대연극이 제시하는 바
[15] 과학과도 같이
[16] 또다시 현대구어 연극을 위하여
[17] 불가능한 대사와 부자연스러운 대사
[18] 언문일치에 관한 몇가지 체험
[19] 태도로서의 언문일지
[20] 리얼리티
[21] 리얼리티를 향해
극단에 운영전략이 있을 수 있을까? - 세이넨단(靑年団)의 궤적을 통해
시작하며
[1] 극단으로서의 출발
[2] 코마바아고라 극장
[3] 순회공연의 전개
[4] 관객 동원에 관해
[5] 새로운 5개년 계획
[6] 총론
전위와 계몽, 그리고… - 워크숍 개론
[1] 워크숍이란 무엇인가
[2] 나는 워크숍에서 무얼 얻고자 하는가
[3] 관객들은 내 워크숍에서 무엇을 원하는가
[4] 행정은 워크숍에 무얼 원하는가
[5] 워크숍의 과제 - 워크숍은 교육의 장일까?
예술의 주변환경에 관하여
[1] 지방자치단체의 문화행정, 그 의문점과 문제점
[2] 예술가들 쪽의 문제점
[3] 왜 지방 극단들은 도쿄에서 공연을 올리려 할까
[4] 구체적인 제안
[5] 정리
제3부 히라타 오리자의 연극 현장, 그 의문점과 문제점
서울로 - 세이넨단의 <서울시민>, 한국 공연의 기록
[1] 하늘의 계시
[2] 공연준비
[3] 연습을 시작하고
[4] 출발 전
[5] 한국공연
[6] 서울에서 부산으로
[7] 공연을 마치고
여고생들과 함께 한 세 달 - <전학생>을 올리기까지
[1] 워크숍
[2] 연습시작
[3] 말에 관하여
[4] 슬럼프
[5] 연습 막바지
[6] 서울에서 부산으로
[7] 공연을 마치고
영어 공용어론과 연극의 언어
전후(戰後) 50년과 일본어에 관하여
희곡 쓰는 법
돌고래쇼 이야기
나미오카마을 체재기
아시아의 '무(無)'
세이넨단(靑年団)은 휴머니즘인가
조용한 연극이라 불리며
부록1 히라타 오리자 인터뷰 - 어떤 상황이든 인간은 '말'합니다
부록2 히라타 오리자 연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