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지난 100여 년의 시간을 ‘문화’라는 이름으로 돌아보았다. 유럽에서 시작되어 역사를 만들어온 마르크스와 모더니즘, 소쉬르와 구조주의, 리오타르와 포스트모더니즘 그리고 롤랑 바르트와 후기 구조주의 등 우리 기억 속에 선연한 각각의 사조와 그 대표 인물을 통해 20세기 문화와 사유의 궤적을 그렸다.
목차
개정판 서문
문화 지형도를 그리기에 앞서
분별
1 모더니티의 기초
1-1 유럽의 모더니티와 미국의 모더니티
1-2 한국의 모더니티
2 모더니즘의 기초
2-1 모더니즘의 철학적, 사회적 기초
2-2 모더니즘과 예술의 변화
2-3 모더니즘의 내용
모더니스트
3 역사 속의 모더니스트 프로젝트
3-1 미래주의-베니토 무솔리니
3-2 정치적 양분화-프랭클린 루스벨트
3-3 동시대 문화-안토니오 그람시
3-4 건축의 기능주의와 현대 도시 계획-르 코르뷔지에, 로버트 모지스
3-5 추상과 콜라주-바실리 칸딘스키
3-6 미술과 원시주의-앙리 마티스
4 모더니스트 이론들
4-1 페르디낭 드 소쉬르와 구조주의
4-2 클로드 레비스트로스와 구조주의 인류학
4-3 지그문트 프로이트와 예술
새로운 사회
5 모더니즘과 사회
5-1 도시, 대중, 엘리트 그리고 모더니스트
5-2 정치, 예술 그리고 대중문화
5-3 혁명, 민중 그리고 사회주의 리얼리즘
5-4 상업주의와 매카시즘
5-5 그들의 청년 문화
미국과 모던 예술
6 모던 예술의 미국화
6-1 알프레드 바와 클레멘테 그린버그
6-2 마르셀 뒤샹
6-3 앤디 워홀
6-4 미국의 상업적 대중주의 예술의 모순
6-5 미국 중앙정보국(CIA)의 문화 간섭-영화와 미술을 중심으로
끝의 시작
7 모던의 끝
7-1 자본주의와 모더니즘의 타락
7-2 전환기, 모던에서 영원으로…
포스트모던
8 포스트모던의 시작
8-1 장 리오타르의 포스트모던 Vs. 포스트구조주의
9 포스트구조주의자들
9-1 롤랑 바르트
9-2 자크 데리다
9-3 미셸 푸코
9-4 장 보드리야르
9-5 자크 라캉
9-6 루스 이리가라이와 줄리아 크리스테바 그리고 퀴어 이론
10 포스트모던 프로젝트
10-1 포스트모던 건축
10-2 미국의 포스트모던 문학
10-3 미국의 포스트모던 미술
10-4 미국 포스트모던 미술의 타락과 한국
10-5 이국주의 예술
10-6 뉴사이언스와 포스트모더니즘
10-7 제3세계의 포스트모더니즘
11 후기 식민주의 문화
11-1 애쉬스 난디와 아시아 문화 연구
11-2 오리엔탈리즘
11-3 후기 식민지 연구
11-4 후기 식민지 산업사회와 우리의 문화
12 포스트구조주의의 몰락
12-1 프랜시스 후쿠야마 Vs. 자크 데리다
13 또 다른 세계의 시작과 가설들
13-1 하이퍼 소사이어티와 후기 자본주의 그리고 거짓말
13-2 사이버 인간의 원형과 하이퍼 모더니즘
14 준비된 몇 가지 가설들
14-1 사이버네틱스의 두 거장-노버트 위너와 고든 패스크
14-2 미디어 사회-마셜 맥루한
14-3 천 개의 고원과 유비쿼터스-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
14-4 네트워크 혁명과 가상의 물결-폴 비릴리오와 피에르 레비
14-5 타자(The Others)와 우리-슬라보예 지젝과 호미 바바
14-6 사이버리아와 사이버 건축-윌리엄 깁슨과 마르코스 노박
100년의 문화 지형도를 마치며
인명 색인
용어 색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