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서강대학교 교수이자 문학평론가인 우찬제 저자는 인간심리의 몸통, ‘불안’을 이야기한다. 욕망, 상처, 타자, 불안, 소통을 이어진 저자의 문학적 관심의 궤적은 문학을 통한 인간 이해의 지평을 확대 심화하기 위한 노력이다.
목차
책머리에
프롤로그
1. 불안의 문제 설정
2. 한국 현대 서사와 불안의 수사학
제I부 불안의 상상력과 그 수사학적 특성
제1장 향락ㆍ불안ㆍ욕망
제2장 환상 원리와 불안
제3장 불안과 그 수사학적 구성
제II부 대타자의 향락과 불안의 원무
제1장 광장 불안과 회색의 불안 의자 : 최인훈
1. 광장 불안과 밀실 불안
2. 대타자와의 대결과 이데올로기적 설명
3. 지각적 묘사에 의한 불안의 극화
4. 회색의 불안 의자
5. 창 없는 모나드의 창
6. 자기 정립을 위한 보헤미안의 불안
7. 드라마 거세 시대의 불안
8. 불안한 곤경과 가족 서사를 넘어서
제2장 감수성의 혁명과 ‘자기 세계’에 대한 불안 : 김승옥
1. 4·19세대의 양가감정과 불안
2. 거세 위협과 자기 세계에 대한 불안
3. 자기 세계의 분열과 연민
4. 고백, 불안, 치유
제3장 불안의 원무와 원무의 불안 : 서정인
1. 혼돈과 불안, 그 소설 언어의 새로운 길트기
2. 불안의 강물과 우수:「강」
3. 직선적 현실과 복잡순환의 불안 서사
4. 불안과 여수(旅愁), 그 길의 미학
5. 불안한 현실과 소설적 진실
제4장 원초적 장면과 대타자의 향락 : 이청준
1. 말의 꿈, 꿈의 불안
2. 원초적 장면, 그 응시와 시선의 역학
3. 대타자의 향락과 주체의 광장 불안
4. 대타자의 향락과 주체의 진술 불안
5. 타자의 응시와 불안의 진실
6. 불안의 상상력과 자유에의 꿈
제III부 불안한 가족 서사와 ‘유리 병정’의 은유
제1장 불안한 ‘유리 병정’의 리얼리티 효과 : 조세희
1. ‘리얼리즘의 확대와 심화’
2. 불안한 시대, 불안한 ‘유리 병정’의 꿈꾸는 정신
3. ‘유리 병정’의 시선과 응시
4. 창의 은유와 몰핑
5. 불안의 초극을 위하여
제2장 상처받은 내면아이의 환상과 불안한 가족 서사 : 김원일
1. 분단 상황과 불안한 성장
2. 불안한 가족 서사와 타자화된 자아
3. 어머니라는 기호의 복합성과 상처받은 불안한 ‘내면아이’
4. 불안 속의 정체성 탐색
제3장 ‘객지’의 불안과 ‘삼포’의 향락 : 황석영
1. 불안한 노동 현실과 초극의 이념
2. 거리 좁히기의 현실성과 미학성
3. 이름의 상징성과 인간의 길
4. ‘삼포’의 사회적 상징과 불안의 초극
제4장 환자-분석자의 역설과 불안 콤플렉스 : 신상웅
1. 불안한 공간과 문제적 인물
2. 하강의 패러다임, 그 반복의 패턴과 통합의 구조
3. 환자(피분석자)-분석자의 역설과 불안 콤플렉스
4. 반생명적 악(惡)의 문제성
제5장 이데올로기의 불안과 정치적 무의식 : 임철우
1. 상처 많은 역사, 불안한 실존
2. 폭력적 입사식, 그 불안과 공포의 통과제의
3. 불안을 조장하는 폭력에 대한 인문적 항의
4. 불안의 예조(預兆)와 기아(棄兒) 모티프
제IV부 현대성의 반란과 불안의 전복
제1장 백일몽의 서사와 불안의 심연 : 허윤석
1. 백일몽의 서사
2. 철의 새장과 순교자형 백일몽
3. 불안의 심연과 분열증
4. 마음의 열쇠를 위한 카오스모스의 수사학
제2장 외상 불안과 분리 불안 : 오정희
1. 오정희와 그녀의 소설시대
2. 거부당한 영혼, 분리 불안, 죽음의 이미지
3. 탈난 ‘여성구성체’ 인식과 우주적 허무
4. ‘집 안의 넋’과 ‘집 밖의 꿈’
5. ‘그’를 향한 불안한 의식의 흐름
6. 불안을 넘어서, 잃어버린 존재를 찾아서
제3장 현대성의 반란과 실존적 불안 : 최인호
1. ‘청년 문화의 기수’의 상징적 악몽
2. ‘견습환자’를 위한 치유의 시선
3. ‘자기의 방’과 ‘타인의 방’
4. 불안과 허무의 여로
제4장 소통 욕망과 불통의 불안 : 이인성
1. 불안한 실존과 열린 텍스트
2. 타자와의 소통 욕망과 불통의 불안
3. 욕망의 배리와 불안의 궁륭
제5장 불안과 상처, 그 감각적 치유 : 최윤
1. 불안과 상처, 그 복합심리
2. 애도의 지연과 불안
3. 불안한 가족 서사의 해체
4. 무관심과 불안의 심연
5. 반복적 불안과 탈주 욕망
6. 불안한 현실과 감각적 치유
에필로그:불안의 수사학과 치유의 상상력
참고문헌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