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중국어의 특징과 음운론의 범위
1. 중국어 어족
2. 표준중국어와 방언
3. 중국어의 유형학적 특징
4. 언어학의 분류
5. 음성학과 음운론의 차이
6. 중국어 언어학 용어의 한국어화
7. 이 책의 목적과 내용
제2장 소리의 차이와 용어
1. 발성 원리와 조음 기관
2. 국제음성기호
3. 자음의 종류와 조음방법
4. 모음의 종류와 조음방법
5. 한어병음과 IPA 대조
6. 음성학ㆍ음운론의 새로운 용어
제3장 음절구조
1. 음절이란 무엇인가
2. SC 음절구조의 전통적 분석
3. 새로운 분석
4. 주요모음과 성조표시
제4장 자음의 체계와 변화
1. 자음의 체계
2. 자음의 음소
3. 자음의 변화
제5장 모음의 체계와 변화
1. 모음의 체계
2. 발음 연습
3. 모음의 음소체계
4. 모음의 변화
제6장 설첨 모음 대 성절 자음
1. 머리말
2. 설첨 모음설
3. 성절 자음설
4. 음성학적 분석
5. 음운론적 분석
6. 맺는말
제7장 교설음화의 기제
1. 머리말
2. 자음 운미설의 문제
3. 이중 모음설의 문제
4. 운 조화설의 문제
5. 새로운 해결 방안
제8장 성조와 성조변화
1. 성조란 무엇인가
2. SC의 기저 성조
3. 성조의 변화
제9장 경성과 운율
1. 경성의 음높이 값
2. 경성의 변화 조건
3. 강세
4. 억양
5. 리듬
제10장 중국 방언의 분포와 특징
1. 방언의 분류
2. 방언의 분포
3. 방언의 음운 특징
4. 한국 한자음과의 관계
제11장 중국어 외래어를 원지음으로 표기해야 할 이유
1. 두 가지 표기원칙
2. 한자음 표기원칙
3. 한자음 표기의 문제점
4. 원지음표기를 해야 할 이유
제12장 중국어 외래어 표기법 원칙과 세칙
1. 무엇이 문제인가
2. 대원칙의 문제
3. 중국어 표기법 세칙의 문제
4. 인명ㆍ지명 표기 원칙의 문제
5. 바다ㆍ섬ㆍ강ㆍ산 등의 표기 세칙의 문제
6. 맺는말
부록: 중국어 한글표기법 일람표
제13장 중국어 외래어 표기법 발음괴리의 문제
1. 문제의 출발
2. 자음의 괴리 문제
3. 모음의 괴리 문제
4. 맺는말
제14장 한ㆍ중 로마자표기법의 국제 표준 문제
1. 머리말
2. 현행 한국어 로마자표기법의 문제
3. 문제점의 해결 방안
4. 개정 반대 논리와 반론
5. 성씨 규정 수정 방향
6. 자음의 수정 방향
7. 모음의 수정 방향
8. 국제적 시각에서 문제 접근
9. 맺는말
제15장 首尔: 서울의 새 중국어 이름
1. 머리말
2. 왜 바꾸었나
3. 어떻게 바꾸었나
4. 반대 논리는 무엇인가
5. 선정 근거는 무엇인가
6. 최종 선택
7. 수용과 보급
8. 맺는말
제16장 결론: 한국인의 삶 속에 중국어 음운론의 의미
1. 중국어 음운론의 의미
2. 낮과 날이 중국어라면?
3. 우리말이 된 중국말
4. 우리말 같은 한자말
5. 중국말 속의 한국말
6. 중국의 인명과 지명 독음 문제
7. 맺는말
참고문헌
부록 1: 중국어 한글표기법 음절별 대조표
부록 2: 한글로마자표기법
한글 찾아보기
영문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