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공간말 '앞'과 '뒤'의 연구 = Space word 'front' and 'after' the meaning
발행연도 - 2012 / 손평효 지음 / 박이정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보존서고(일반)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90666
-
ISBN
9788962923001
-
형태
341 p. 23 cm
-
한국십진분류
언어
>
한국어
>
어휘
-
카테고리분류
인문
>
기호/논리/언어학
>
국어학
책소개
저자가 2012년 2월 부산대학교 대학원에 제출한 박사학위 논문인 “공간말 ‘앞’과 ‘뒤’의 의미와 복합어 구성 연구”를 일부 깁고 더한 것과 그와 관련되는 논문 하나를 추가하여 만들어진 책이다. 이 책은 공간을 나타내는 우리말 ‘앞’과 ‘뒤’의 의미 변화와 그에 따른 문법화, 그리고 ‘앞’, ‘뒤’가 결합됨으로써 형성되는 낱말들의 짜임새와 의미적 특성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목차
제1부 공간말 ‘앞’과 ‘뒤’의 의미와 복합어 구성 연구
머리말
1. 들어가기
1.1. 연구 목적
1.2. 연구 대상과 범위
1.3. 앞선 연구 검토
1.4. 연구 방법과 방향
2. ‘앞’과 ‘뒤’의 의미와 의미 변화
2.1. 공간말과 ‘앞’, ‘뒤’
2.1.1. 공간말의 개념
2.1.2. 공간말로서의 ‘앞’, ‘뒤’
2.2.‘앞’과 ‘뒤’의 의미 변화
2.2.1. ‘앞’과 ‘뒤’의 분포와 의미
2.2.2. ‘앞’의 의미와 변화
2.2.2.1. 중세·근대국어에서
2.2.2.2. 현대국어에서
2.2.3. ‘뒤’의 의미와 변화
2.2.3.1. 중세·근대국어에서
2.2.3.2. 현대국어에서
2.2.4. 의미 변화의 과정
3. ‘앞’과 ‘뒤’의 문법화
3.1. 공간말 문법화의 양상
3.1.1. 임자씨 문법화의 전개
3.1.2. 공간과 시간의 상관성
3.2. 문법화의 과정
3.2.1. 공간 의미로의 확장
3.2.2. 시간 의미로의 확장
3.2.3. 추상 의미로의 확장
3.3. 문법화의 결과
3.4. ‘앞’과 ‘뒤’ 문법화의 특성
4. 앞’과 ‘뒤’로 형성된 복합어의 유형
4.1. 기본적 논의
4.2. 앞-복합어
4.2.1. 합성어에서
4.2.1.1. 임자씨 ‘앞-합성어’
4.2.1.2. 풀이씨 ‘앞-합성어’
4.2.2. 파생어에서
4.2.2.1. 임자씨 ‘앞-파생어’
4.2.2.2. 풀이씨 ‘앞-파생어’
4.2.2.3. 어찌씨 ‘앞-파생어’
4.3. 뒤-복합어
4.3.1. 합성어에서
4.3.1.1. 임자씨 ‘뒤-합성어’
4.3.1.2. 풀이씨‘뒤-합성어’
4.3.1.3. 어찌씨‘뒤-합성어’
4.3.2. 파생어에서
4.3.2.1. 임자씨‘뒤-파생어’
4.3.2.2. 풀이씨‘뒤-파생어’
4.4. 정리
5. ‘앞’과 ‘뒤’로 형성된 복합어의 의미
5.1. 기본적 논의
5.2. 합성어에서
5.2.1. 본디 의미에 따른 낱말 형성
5.2.2. 전이 의미에 따른 낱말 형성
5.2.2.1. 차례, 순서 의미에 따라
5.2.2.2. 시간 의미에 따라
5.2.2.3. 추상 의미에 따라
5.3. 파생어에서
5.4. 낱말 형성의 의미적 특성
6. 마무리
참고문헌
부록
제2부 중세국어 ‘그?긔’의 문법화 연구
1. 들어가기
1.1. 연구 목적
1.2. 앞선 연구 검토 및 방향
2. ‘그어긔’의 짜임과 범주
2.1. ‘그어긔’의 짜임
2.2. ‘그어긔’의 범주
3. ‘그어긔’의 문법화
3.1. 문법화의 개념
3.2. 문법화 1단계
3.3. 문법화 2단계
3.4. 문법화 3단계
3.5. ‘이어긔’, ‘뎌어긔’의 문법화
3.6. 문법화한 까닭
4. 마무리
참고문헌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