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본서는 앞으로 큰 전개가 예상되는 고분자 나노테크놀러지 중에서 구체성이 높은 고분자 나노재료에 대해 다루고 있다. 나노재료의 개념에서부터 나노재료의 구조와 물성, 나노재료를 만드는 법, 고분자 나노 파이버·나노 박막, 나노재료 캐익터리제이션에 대해 기초에서부터 최근의 상황까지를 기술하고 있으며, 특히 기초 응용면에서 흥미를 자아내는 폴리머 나노 알로이, 폴리머 나노 콤퍼짓에 역점을 두어 설명하였다.
목차
CHAPTER 01 고분자 나노재료의 개념
1.1 고분자와 나노테크놀러지
1.2 고분자 나노재료
1.3 나노 소재
1.4 폴리머 나노 알로이
1.5 폴리머 나노 콤퍼짓 재료
1.6 기타 고분자 나노재료
ㆍ컬럼 : 빛의 한게를 초월하는 전자 현미경
CHAPTER 02 고분자 나노재료의 구조와 물성
2.1 머리말
2.2 상용ㆍ상분리 이론
(1) 플리머 블랜드계의 상도
(2) 플리머 알로이의 통계 열역학
(3) 상분리 다이내믹스
(4) 마이크로 상분리
ㆍ컬럼 : 원자간 힘 현미경(AFM)의 위력
2.3 계면의이론
(1) 폴리머 나노 알로이의 계면
(2) 계면을 통한 확산, 분배, 반응
(3) 콤퍼짓의 계면
ㆍ컬럼 : 투과형 전자 현미경(TEM)의 원리
(4) 계산기 시뮬레이션
2.4 고분자 나노재료의 사례
(1)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2) 마이크로 상분리 구조의 나노 템플레이트에 응용
(3) 카본 나노튜브(CNT)/엘라스토머 복합재
(4) 폴리머 크레이 나노 컴퍼짓
(5) 환동 겔
CHAPTER 03 고분자 나노재료를 만드는 법
3.1 기본적인 아이디어
3.2 블록, 그래프트 공중합
3.3 in situ법, 졸겔법 나노 콤퍼짓
ㆍ컬럼 :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의 구조
3.4 초분자법
3.5 상전이(相轉移)에 의한 방법
3.6 리액티브 프로세싱
3.7 맺는말
CHAPTER 04 고분자 나노 파이버ㆍ나노 박막
4.1 고분자 나노 파이버
ㆍ컬럼 : 주사형 프로브 현미경(SPM)
4.2 고분자 나노 박막
CHAPTER 05 고분자 나노재료의 캐릭터리제이션
5.1 머리말
5.2 원소 식별형 3차원 전자 현미경
ㆍ컬럼 : 주사형 터널 현미경(STM)의 원리
5.3 원자간 힘 현미경
(1) 원자간 힘 현미경에 대하여
(2) 물성을 평가하는 도구로서의 AFM
(3) 태핑 모드(tapping mode) AFM에 대하여
ㆍ컬럼 : 주사형 근접장 광학 현미경(SNOM)
5.4 나노 스펙트로스코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