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

전체도서관 소장정보

소장정보 리스트입니다.
자료실 대출상태 반납예정일 청구기호 등록번호 자료예약 상호대차 책마중 정보출력

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중국 화북에서 전개된 일본제국의 수송전과 그 역사적 의의를 다룬 책. 화북교통이 화북지역에서 전개한 전시수송의 실태와 자원 동원 그리고 파탄 과정,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중국에서 차지하는 의미를 방대한 자료를 동원하여 생생히 파헤치고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책을 펴내며

머리말
1. 연구 과제
2. 기존의 연구
3. 분석 시각
4. 이 책의 구성

Ⅰ. 중일전쟁 이전의 화북철도와 중ㆍ일 양국의 갈등
1.화북철도의 운영
(1) 화북철도의 성립과 열강 이권의 형성
(2) 철도 운영의 분립
2.화북철도를 둘러싼 중ㆍ일 양국의 갈등
(1) 국민당정부의 철도 관리 통일
(2) 화북 분리 공작과 만철의 진출

Ⅱ. 중일전쟁 발발과 화북교통 설립
1.점령철도 접수와 운영 시스템 구축
(1) 북지사무국과 점령철도 운영
1) 만철의 출동과 북지사무국 설치
2) 북지사무국의 가영업 개시와 운영의 일원화
(2) 경영자원 확보와 수송력 회복
1) 화북철도의 요원 구성과 차량 증비
2) 만철 북지사무국의 시설 복구ㆍ증강과 수송 실태
2. 화북교통의 설립 과정
(1) 점령철도 운영을 위한 교통회사
(2) 화북교통 설립

Ⅲ. 화북교통의 수송력 증강과 수송 효율화
1.철도수송 증가와 수송력 증강 5개년계획
(1) 수송 수요의 증가와 수송난 발생
(2) 수송력 증강 5개년계획과 투자의 실태
2. 경영자원 조달 재편과 효율적인 철도 운영
(1) 경영자원 조달 경로의 재편
1) 자재 조달의 혼란과 화북교통의 대응
2) 인적자원 확보와 운용의 재편
(2) 수송의 효율화와 통제 확충
1) 차량 수리 능력 향상과 운용 차량 증대
2) 배차 능력 향상과 구내 작업 정형화
3) 확대되는 전시 통제 운영: 철도에서 연선으로

Ⅳ. 아시아태평양전쟁 개전과 전시 육운 비상체제
1.화북교통과 전시 육운 비상체제 확립
(1) 육운전가와 수송 동태의 변화   
(2) 화북교통의 전시 육운 비상체제
2.수송력 증강과 심각해지는 자원 제약
(1) 육상 수송 경로 강화와 경영자원 운영의 재편
1) 육상 수송 경로 강화와 자재난
2) 인적자원 양성과 운용 재편
(2) 수송 효율화의 한계와 수송통제 강화
1) 효율적인 수송을 위한 대책과 그 한계
2) 화물 중심 수송과 화북교통의 경영 악화

Ⅴ. 수송 위기와 자활자전 태세
1.수송 위기와 수송력 확보 대책
(1) 화북교통의 수송력 저하 과정
1) 철도수송의 동태
2) 저하된 내부 자원 관리 능력
3) 항일 게릴라의 적피아타 공세
4) 미군의 공습 전개
(2) 수송 위기의 발생과 화북교통의 대응
1) 미증유의 수송 혼란 상태
2) 화북교통의 수송력 확보 대책
2.자활자전 태세 확립과 결전수송
(1) 일본군의 화북교통 관리와 북지나교통단
(2) 일본의 결전수송과 패전

Ⅵ. 전후의 철도 운영과 국공내전
1.중국의 철도 접수와 운영
(1) 중국의 화북교통 접수와 혼란상
(2) 미국의 지원과 국민당정부의 철도 운영
2.국공내전과 신국가 건설
(1) 국공내전과 전시동원
(2) 중화인민공화국 성립과 국유철도 운영  

맺음말
1. 일본의 화북철도 점령
2. 화북교통의 자원 동원과 운영
3. 화북교통의 인적자원 운용
4. 위기 속의 수송력 증강 대책
5. 화북교통의 대응이 드러낸 한계
6. 새로운 중국의 화북철도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도시로 읽는 현대중국. 2, 개혁기 도시로 읽는 현대중국. 2, 개혁기 2017 / 엮음: 박철현 / 역사비평사
내 가족의 역사 내 가족의 역사 2014 / 리쿤우 지음 ; 김택규 옮김 / 북멘토
1942 대기근  = 1942 experience great famine  : 삼백만 명이 굶어죽은 허난 대기근을 추적하다 1942 대기근 = 1942 experience great famine : 삼백만 명이 굶어죽은 허난 대기근을 추적하다 2013 / 멍레이 ; 관궈펑 ; 궈샤오양 외 엮음 ; 고상희 옮김 / 글항아리
中日戰爭과 아편 中日戰爭과 아편 1995 / 박강 저 / 지식산업사
중일전쟁과 중국전쟁 중일전쟁과 중국전쟁 2002 / 윤휘탁 저 / 일조각
중일전쟁과 중국혁명 중일전쟁과 중국혁명 2002 / 윤휘택 저 / 일호각
근대 상해의 민간단체와 국가 근대 상해의 민간단체와 국가 2006 / 이병인 지음 / 창비
중일전쟁과 화북교통  : 중국 화북에서 전개된 일본제국의 수송전과 그 역사적 의의 중일전쟁과 화북교통 : 중국 화북에서 전개된 일본제국의 수송전과 그 역사적 의의 2012 / 임채성 지음 / 일조각
난징대학살 : 진상과 역사 기록을 담다 난징대학살 : 진상과 역사 기록을 담다 2019 / 엮음: 장롄홍, 쑨자이웨이 ; 옮김: 신진호, 탕군 / 민속원
난징대학살 난징대학살 1999 / 아이리스 장 지음 ; 김은령 옮김 / 끌리오
역사는 힘있는 자가 쓰는가 : 난징의 강간, 그 진실의 기록 역사는 힘있는 자가 쓰는가 : 난징의 강간, 그 진실의 기록 2006 / 아이리스 장 ; 윤지환 옮김 / 미다스북스
역사는 누구의 편에 서는가  : 난징대학살, 그 야만적 진실의 기록 역사는 누구의 편에 서는가 : 난징대학살, 그 야만적 진실의 기록 2014 / 아이리스 장 지음 ; 윤지환 옮김 / 미다스북스
역사는 누구의 편에 서는가  : 난징대학살, 그 야만적 진실의 기록 역사는 누구의 편에 서는가 : 난징대학살, 그 야만적 진실의 기록 2014 / 아이리스 장 지음 ; 윤지환 옮김 / 미다스북스
예일에서 도쿄까지  : 난징대학살의 증거를 찾아서 예일에서 도쿄까지 : 난징대학살의 증거를 찾아서 2016 / 저자: 장카이웬 ; 역자: 池水湧 ; 金淑蘭 ; 裴圭範 ; 韓龍浩 ; 趙顯昊 / 보고사
뚜이부치 : 단 한마디를 위한 용기 뚜이부치 : 단 한마디를 위한 용기 2023 / 글·그림: 최덕현 / 북멘토

같은 주제의 책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

(지도로 읽는다)삼국지 100년 도감 (지도로 읽는다)삼국지 100년 도감 2018 / 지음: 바운드, 옮김: 전경아, 감수: 미츠다 다카시 / 이다미디어
(한 권으로 읽는) 자치통감  : [이북 E-book] (한 권으로 읽는) 자치통감 : [이북 E-book] 2019 / 사마광 지음 ; 푸챵 편역 ; 나진희 옮김 / 현대지성
진시황 강의 진시황 강의 2013 / 왕리췬 지음 ; 홍순도, 홍광훈 [공]옮김 / 김영사
중국인 이야기. 1 중국인 이야기. 1 2012 / 지음: 김명호 / 한길사
중국인 이야기. 2 중국인 이야기. 2 2013 / 지음: 김명호 / 한길사
이중톈 중국사. 07, 진시황의 천하 이중톈 중국사. 07, 진시황의 천하 2015 / 지음: 이중톈, 옮김: 김택규 / 글항아리
춘추전국이야기. 10, 진나라의 천하통일 춘추전국이야기. 10, 진나라의 천하통일 2017 / 지음: 공원국 / 위즈덤하우스
중국인 이야기. 7 중국인 이야기. 7 2019 / 지음: 김명호 / 한길사
사마천의 마음으로 읽는 『사기』 사마천의 마음으로 읽는 『사기』 2018 / 지음: 이승수 / 돌베개
삼국지 다음 이야기 : 제2의 전국 시대, 중원을 지배한 오랑캐 황제들. 1 삼국지 다음 이야기 : 제2의 전국 시대, 중원을 지배한 오랑캐 황제들. 1 2014 / 신동준 지음 / 을유문화사
삼국지 다음 이야기 : 제2의 전국 시대, 중원을 지배한 오랑캐 황제들. 2 삼국지 다음 이야기 : 제2의 전국 시대, 중원을 지배한 오랑캐 황제들. 2 2014 / 지음: 신동준 / 을유문화사
중국인 이야기. 3 중국인 이야기. 3 2014 / 지음: 김명호 / 한길사
역사는 누구의 편에 서는가  : 난징대학살, 그 야만적 진실의 기록 역사는 누구의 편에 서는가 : 난징대학살, 그 야만적 진실의 기록 2014 / 아이리스 장 지음 ; 윤지환 옮김 / 미다스북스
이중톈 중국사. 11, 위진풍도 이중톈 중국사. 11, 위진풍도 2018 / 지음: 이중톈, 옮김: 김택규 / 글항아리
춘추전국이야기. 8, 합종연횡 춘추전국이야기. 8, 합종연횡 2017 / 지음: 공원국 / 위즈덤하우스

주요 키워드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대출건수
10대 미만0
10대0
20대0
30대0
40대0
50대0
60대0
70대0
80대0
90대0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대출건수
2016년0
2017년0
2018년0
2019년0
2020년0
2021년0
2022년0
2023년0
2024년0
2025년0

해당 페이지의 만족도와 소중한 의견 남겨주세요.

등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