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학(美學)이란 학명의 대안으로 감성학(感性學)을 제안한 책. 감성학에서는 객관적인 테두리보다는 주관적인 체험을 앞세운 직관을 중요시하는데, 특히 체험의 질적 작용을 다룬다고 할 수 있다. 이를테면 그것이 아름다움이며, 아름다움에 반응하는 감수성이고, 아름다움을 창조하는 상상력이다.
글머리에
PART 1 미학과 감성학 1 ― 감성학으로서 미학의 탄생 2 ― 미학의 죽음 3 ― 가치론으로서 감성학 4 ― 힘을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감성학 5 ― 감성을 가꾸는 마음공부의 장으로서 감성학
PART 3 감성학적 취향론 1 ― 취향의 이중적 성격 2 ― 감성학적 맥락에서 취향과 관련된 문제 영역들 1) 개인적인 것으로서 취향 2) 자연스러운 것으로서 취향 3) 집단적인 것으로서 취향 4) 비판적 성향으로서 취향 5) 돌봄과 가꿈으로서 취향 6) 생명과 죽음의 취향 3 ― 감성학적 입장에서 취향에 대한 논의를 정리하며
PART 4 감성학적 힘의 성격 : 보이는 것과 보이지 않는 것 1 ― 감성학적 힘 2 ― 감성학적 힘의 성격 1) 감각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관능적인 힘 2) 감각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초월적인 힘 3) 미메시스. 그려진 장미꽃을 우리로 하여금 냄새 맡게 하는 힘. 재현과 표현 그리고 상징 4) 감성학적 힘으로서 형식 5) 감성학적 힘으로서 공간 6) 감성학적 힘으로서 시간 7) 감성학적 힘으로서 길들여짐 8) 감성학적 힘으로서 이야기 9) 감성학적 힘으로서 스타일 10) 감성학적 힘으로서 기능성 11) 감성학적 힘으로서 진정성 3 ― 감성학적 힘의 초월적 성격
PART 7 감성적 예술 기능론 1 ― 감성학적 힘은 어떤 쓸모가 있는가 2 ― 라스킨의 예술 기능론 1) 행위 충족 2) 자기 정립과 자기 현시 3) 대리적 소원 성취 4) 탐구와 모색 5) 감싸안음과 내려놓음 6) 통합과 재생 7) 방향 설정 8) 일련의 거시 사회적 기능 3 ― 감성적 예술 기능론을 위하여 1) 예술의 자기 성장적 기능 : 예술은 우리 내면의 그릇을 키워준다. 그런데 자기 위안은? 2) 예술의 구체적인 가치관, 세계관 형성 기능 : 왜 사는가, 어떻게 살 것인가, 어떤 세상에서 살고 싶은가? 그런데 현실은? 3) 예술의 선동적 기능 : 예술은 즉각적인 실천을 부른다. 그 후유증은? 4) 예술의 정보 전달 기능 : 예술은 세상사에 지식과 정보를 준다. 그런데 지혜는? 5) 예술의 인생 상담 기능 : 예술은 장래 직업 선택에 도움을 준다. 그런데 후회는? 6) 예술의 예언적 기능 : 예술은 다가올 세상의 미래에 대한 구체적인 비전을 제시한다. 그런데 지금, 이곳의 현실은? 7) 예술의 인식적 기능 : 예술은 어떤 시대의 세계관, 가치관 또는 시대정신을 드러낸다. 그런데 누구의? 8) 예술의 구도자적 기능 : 예술은 진리의 현현이다. 그런데 오로지 깨달은 자만의? 9) 예술의 감각적 기능 : 예술은 우리의 감각적 능력을 확대시키며 상상력을 증대시켜 우리의 창조성을 고취한다. 그런데 초감각적 능력이란 것도 있는가? 10) 예술의 더불어 대화 나누기로서의 기능 : 예술은 서로 서먹한 사람들 사이에서도 효과적인 대화의 소재를 제공한다. 힘겨루기로서의 대화는 아니고? 11) 예술의 치유적 기능 : 예술은 우리의 아픔을 낫게 해준다. 병 주고 약 주고는 아니고? 12) 예술의 오락적 기능 : 예술은 한가한 시간에 휴식을 준다. 그런데 도피주의는?
PART 8 미학, 과거와 현재 - 테디 부르니우스 01 ― 미학이란 02 ― 예술들 03 ― 영감에 대해 04 ― 예술에서의 진실 05 ― 재현과 표현 06 ― 하모니와 형식 07 ― 미적인 것에 대한 논의에서 전체와 부분의 문제 08 ― 아름다움 09 ― 비극적 쾌감 10 ― 광대들의 예술 11 ― 숭고한 것 12 ― 상상력과 느낌 13 ― 취향과 비평 14 ― 형식과 스타일 15 ― 미학
바디스케이프1999 / 니콜라스 미르조예프 지음 ; 이윤희 ; 이필 옮김 / 시각과언어
예술의 위기1999 / 이브 미쇼 저 ; 하태환 옮김 / 東文選
미술의 이해와 감상2002 / 이석원 등저 / 학문사
그림은 무엇을 원하는가? : 이미지의 삶과 사랑2010 / W.J.T. 미첼 지음 ; 김전유경 옮김 / 그린비출판사
에로스의 눈물2002 / 죠르주 바따이유 저 ; 유기환 옮김 / 문학과의식
미술비평 그림 읽는 즐거움2007 / 지음: 테리 바렛 ; 옮김: 이태호 / 아트북스
헤겔 미학 개요 : 『미학강의』 서론 해설2014 / 박배형 지음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감성시대의 미학 = (The) aesthetics of sensibility period : 미학과 감성학2011 / 박성봉 지음 / 일빛
도널드 월하웃의 미학과 함께 한 일주일2004 / 박성봉 지음 / 일빛
즐거운 생활로서의 미학2000 / 박선목 저 / 형설출판사
고흐의 눈, 고갱의 눈2018 / 저자: 박우찬 / 지에이북스
고흐의 눈, 고갱의 눈2018 / 저자: 박우찬 / 지에이북스
동양의 눈 서양의 눈 : 우리는 미술을 읽는 눈을 잃었다2016 / 공저: 박우찬, 박종용 / 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