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황성신문』논설과 단재 신채호 1. 들어가는 말 2. 『황성신문』의 논설기자 3. 『황성신문』논설의 저자 규명 4. 『황성신문』주필로서의 단재 5. 마무리 『권업신문』논설 저자와 그 의미 1. 들어가는 말 2. 단재의 『권업신문』발행에 대한 기존 논의 3. 단재의 『권업신문』참여 4. 『권업신문』논설의 저자 규명 5. 마무리 * 부록-『권업신문』논설 및 별보기사 목록 일부 『중화보』 논설 저자와 그 의미 1. 들어가는 말 2. ‘중화보’의 실체-『중화신보』규명 3. 방법론 탐색-‘矣’에 대한 접근 4. 時評 기자 ‘博’의 글들 5. 증언을 통해 본 博과 단재의 일치 유무 6. 중국신문 기자로서의 정체성과 단재의 주체성 7. 중국 문인들과 단재의 교육 8. 마무리 『중화보』 논설의 저자 보론 1. 들어가는 말 2. 기존 논의의 보안 3. 문체론적 접근 4. 쟁점 해명-박과 단재 5. 마무리 『신대한』 논설 저자와 그 의미 1. 들어가는 말 2. 『신대한』발행과 주필 신채호 3. 『신대한』논설과 단재 신채호 4. 『신대한』논설의 의미 5. 마무리 『독립신문』(상해판) 논설 저자와 그 의미 1. 들어가는 말 2. 상해판 『독립신문』과 신채호 3. 상해판 『독립신문』소재 신채호의 작품 발굴 4. 상해판 『독립신문』소재 글의 위치 및 의의 5. 마무리 * 부기 『천고』 논설 저자와 그 의미 1. 들어가는 말 2. 『천고』발행에 참여한 인물 3. 『천고』의 글과 저자 4. 『천고』소재 신채호 글이 갖는 의미 5 마무리 * 부록-『천고』논설 및 기사 전체 목록
제2부 『월남망국사』 및 『의대리건국삼걸전』의 첫 번역자 1. 들어가는 말 2. 『황성신문』의 논설기자라는 관점 3. 『伊太利建國三傑傳』과의 비교를 통한 「독의대리건국삼걸전」의 번역자 4. 「독의대리건국삼걸전」의 저자를 통해 본 「독월남망국사」의 번역자 5. 마무리 계몽기 연극개량론과 단재 신채호 1. 들어가는 말 2. 글의 내적 논리와 단재 사상 3. 연극개량론 형성의 전후 4. 마무리 사회등가사의 저자로서의 신채호 1. 들어가는 말 2. 시론 시평 기자로서의 신채호 3. 신채호의 사회등가사 논의를 위한 전제 4. 단재 창작 사회등가사 규명 5. 단재와 사회등가사 6. 마무리 「지구성미래몽」의 저자와 그 의미 1. 들어가는 말 2. 「지구성미래몽」의 저자 궁구 3. 「지구성미래몽」과 신채호 4. 마무리 국문 창제 요의설을 통한 「천희당시화」의 저자 규명 1. 들어가는 말 2. 기존 논의에 대한 검토 3. 저자에 대한 고증 4. 마무리 「천희당시화」의 저자 확정 문제 1. 들어가는 말 2. 저자에 대한 기존 논의 검토 3. 저자에 대한 고증 4. 마무리 「이십세기 신국민」의 저자 규명과 그 의미 1. 들어가는 말 2. 「이십세기 신국민」의 저자 확정 3. 단재 문학에서 「이십세기 신국민」의 의의 4. 마무리 「중국혁명약사」의 저자 규명 및 저술 의의 1. 들어가는 말 2. 「중국혁명약사」의 저자 규명 3. 「중국혁명약사」의 저술 의의 4. 마무리
제3부 「시일에 우방성대곡」의 저자 규명 1. 들어가는 말 2. 단재의 『대한매일신보』입사에 대한 기존 논의 3. 단재의 『대한매일신보』입사에 대한 본격 논의 4. 『대한매일신보』의 주필 논의 5. 박은식과 「시일에 우방성대곡」의 문체 및 사상 6. 『대한매일신보』주필과 기서의 저자 7. 마무리 * 부기 「서호문답」의 저자 및 성격 규명 1. 들어가는 말 2. 「서호문답」의 단재전집 수용 경위와 그간 논의 3. 단재와 「서호문답」의 거리 4. 「서호문답」과 박은식 5. 「서호문답」의 성격 6. 마무리 「신민회취지서」ㆍ「청년학우회취지서」ㆍ「조선혁명선언」의 저자 1. 들어가는 말 2. 취지서, 선언서의 저자 3. 취지서, 선언서의 내용 및 문체 4. 취지서, 선언서의 의미-안창호, 최남선, 그리고 신채호 5. 마무리 「단기고사 중간서」의 저자 문제 1. 들어가는 말 2. 「단기고사 중간서」와 단재 3. 단재의 사상과 「중간서」의 성격 4. 신채호와 이관구 5. 마무리 * 부기
제4부 단재 유고의 형성과 전집의 발간 1. 단재의 글쓰기와 문학 2. 단재의 창작유고 3. 『룡과 룡의 대격전』의 탄생 4. 『단재신채호전집』의 발간 5. 『신채호문학유고집』의 발간 6. 최근 발굴 작품 7. 전집의 편제와 구성 8. 마무리-남은 말 단재 신채호 문학과 정전의 문제 1. 단재의 문필, 단재의 설화 2. 단재 문학과 정전의 형성 3. 단재 문학의 정전화 과정에 나타난 문제점 4. 단재 연구와 그의 문학의 정전화 5. 마무리-단재의 새로운 정전을 위하여
참고문헌 찾아보기
서가브라우징
디아스포라를 넘어서 : 경계에 선 문학의 운명 : 김종회 평론집2007 / 김종회 / 민음사
문화의 푸른 숲 : 김종회 문화비평 2022 / 지음: 김종회 / 아르테 :
중앙아시아 고려인 디아스포라 문학2010 / 김종회 엮음 / 국학자료원
한국 현대문학과 경계의 상상력2012 / 지은이: 김종욱 / 역락
한민족 디아스포라 문학 : 해외동포문학과 북한문학의 새 길2015 / 지음: 김종회 / 문학과지성사
근대 논의 이후의 문학2006 / 김주연 지음 / 문학과지성사
디지털 욕망과 문학의 현혹2001 / 김주연 저 / 문이당
신채호문학연구초 = Research on Shin Chaeho's literary works2012 / 김주현 지음 / 소명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