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1부 전일론과 건축의 탄생
1장 제의
몸을 통해 건축이 태어나다
2장 전일론
몸은 하나였다
3장 전일론의 붕괴
로마의 현세적 몸
2부 레오나르도 다빈치와 데카르트
4장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뜯어본 몸
기계론과 부위론의 등장
5장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몸과 건축
이중 교차 계단과 중앙집중형 교회
6장 데카르트의 몸 이론 - 기계론과 주체론
분해된 몸과 유물론적 이원론의 정착
7장 도구론, 절대 거리, 절대 공간
시각 중심주의와 시간 우선주의가 낳은 기계물질문명
3부 데카르트와 합리주의 건축
8장 데카르트와 현대 건축의 형성
몸 이론과 근대적 합리성
9장 기계론과 18세기 합리주의 건축
페로, 로돌리, 밀리치아
4부 절대 공간과 '텅 빈 공간'
10장 데카르트의 절대 공간과 페로의 독립 원형 기둥
전통 공간 비우기와 바로크 순수 공간 찾기
11장 렌의 순수 공간과 영국의 '새 몸 찾기'
월브룩의 성스테파노와 바로크 ‘새 몸’의 불완전한 완성
12장 시간의 일상생활 지배와 죽은 몸
시계, 지도, ‘모던 노마드’
13장 19세기 산업주의와 '텅 빈 거대 공간'의 완성
산업자본주의와 ‘완전 여백으로서의 저장고’의 탄생
14장 수정궁, 에펠탑, 기계관
19세기 만국박람회와 현대적 몸의 완성
5부 르코르뷔지에와 미스 반데어로에
15장 르코르뷔지에와 기계론적 건축의 완성
도미노 시스템과 콘크리트로 만든 ‘텅 빈 공간’
16장 오브제 타입과 최적 조화-르코르뷔지에의 '새 몸'
추상 부위와 ‘새 몸으로 무장하기’
17장 기계미학과 르코르뷔지에의 퓨리즘 건축
인체 해부도와 기계로서의 집
19장 미스 반데어로에와 균질 공간
톰슨의 생물형태학과 ‘구조기계미학’
20장 '텅 빈 유리 어항'과 일상 현실의 문제
유리 벽의 불투명성과 균질 공간 채우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