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인 '정지용'에 대한 박태상 교수의 학술연구서. 저자는 그동안 충북 옥천의 지역축제인 '지용제'의 운영위원으로 활동했다. 그리고 '지용제'의 일환으로 진행되는 '지용문학포럼'에서 줄기차게 새로운 자료를 발굴하여 소개했다. 이 책은 지용문학포럼에서 그동안 발표했던 논문들과 새롭게 집필한 논문 등으로 구성되었다.
책 머리에
제1부 정지용은 왜 불안했는가
정지용과 청록파 시인들
1. 머리말
2. 정지용과 청록파 시인들의 관계
3. 정지용의 시에 나타난 '결핍'의 자연관
4. 정지용문학과 청록파문학의 동질성과 이질성
5. 맺음말
『문장』에 발표한 정지용 '한적시'의 특성
1. 머리말
2. 정지용 문학의 변모양상
3. 『문장』의 전통주의와 정지용의 정경교융의 인식태도
4. 『문장』을 통한 지용의 문학활동의 문학사적 의의
5. 맺음말
제2부 정지용은 무엇을 지향했는가
정지용과 '문장파 근대미술가들'
1. 머리말
2. 근대시문학에서의 '향토적 정조'의 형성과정과 한계
3. 1930년대 미술화단의 흐름과 김용준의 미학론
4. 『문장』에 나타난 정지용과 김용준의 간텍스트성
5. 맺음말
한국문화사의 관점에서 본 정지용
1. 정지용 시비 「압천」-한일문화교류의 가교
2. 대중가요 「향수」와 가곡 「고향」-불멸의 노래, 불멸의 시인
3. 남북문학사에서의 정지용-다시 부활한 지용
제3부 정지용은 왜 항상 '새로운 것'에 집착했는가
『문장』과 정지용
1. 머리말
2. 1930~1940년대 시대상과 잡지 『문장』
3. 『문장』의 지향점과 문화사적 위상
4. 『문장』에 나타난 정지용의 족적
5. 맺음말
제4부 북한에서 정지용은 부활했는가
북한문학사에서의 정지용
1. 머리말
2. 정지용 시인의 '마지막 행적'을 둘러싼 논란
3. 『조선대백과사전』에 서술된 정지용
4. 북한문학사에서의 정지용 문학의 평가
5. 맺음말
부록
1. 정지용 연보
2. 정지용 시작품 발표 연보
3. 정지용 연구 총목록
4. 정지용 시비 및 책 표지
5. 잡지 『문장』 표지화
6. 조풍연의 결혼화첩
7. 정지용 '마지막 행적' 관련 북한 『통일신보』
찾아보기
오감도의 탄생2014 / 지은이: 권영민 / 태학사
백석의 노래 2020 / 지음: 김수업 / 휴머니스트
백석의 노래 2020 / 지음: 김수업 / 휴머니스트
서른세 번의 만남, 백석과 동주2020 / 지음: 김응교 / 아카넷
김소월 評傳2013 / 김학동 著 / 새문사
윤동주 시 다시 읽기 2024 / 지음: 남송우 / 불휘미디어
(생명의 시인) 윤동주 : 모든 죽어가는 것이 시가 되기까지2018 / 지음: 다고 기치로 ; 옮김: 이은정 / 한울
정지용의 삶과 문학2010 / 박태상 지음 / 깊은샘
한 권에 담은 264 작은 문학관2016 / 지음:박현수 / 울력
백석의 동시와 동화시 연구2018 / 지은이: 신익선 / 문화의힘
경계의 언어와 시적 실험 : 어문표준화 정책에 따른 문인들의 언어의식과 창작태도의 변화2016 / 지음: 여태천 / 소명출판
백석 시 꼼꼼하게 읽기 = Close reading baekseok's poems 2021 / 지음: 오성호 / 경진출판
백석 시를 읽는 시간 = Time to read Baek Seok's poetry 2021 / 지음: 이경수 / 소명출판
청춘의 별을 헤다 : 우리가 잘 몰랐던 시인 윤동주에 관한 열세 가지 질문 2020 / 지음: 이승하 / 서연비람
청춘의 별을 헤다 : 우리가 잘 몰랐던 시인 윤동주에 관한 열세 가지 질문 2020 / 지음: 이승하 / 서연비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