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머리말
■ 서론
제1부 서구 경험론의 공자주의적 이해
제1장 에피쿠로스의 소박경험론
제1절 학이불사學而不思의 공허한 인식론
1.1. 지리의 척도: 감가가, 감정, 기성관념, 정신적 직관
1.2. 지식의 외래적 진리성에 대한 맹신과 회의론의 배격
제2절 쾌락주의적 행복론 대 합리적 도덕론
2.1. 쾌락의 감정과 감정적 행복: 육체적 건강과 정신적 아타락시아
2.2. 도구적 덕성과 ‘계약’ 으로서의 정의: 합리주의로의 퇴락
2.3. 신을 ‘실업자’ 로 만든 에피쿠로스의 이상한 신학
제2장 프란시스 베이컨의 ‘판적 경험론’과 자연정복의 철학
제1절 베이컨의 ‘박학이신사博學而愼思’와 ‘술이부작術而不作’
1.1. 감각의 격상과 ‘자연의 해석’
1.2. 인간 정신의 청소: 우상의 제거
1.3. 종족ㆍ동굴ㆍ시장ㆍ극장의 우상
1.4. ‘자연의 해석’: ‘사이불학’과 ‘부지이작’에 대한 비판
1.5. ‘꿀벌의 인식론’과 협력적ㆍ공익적 지식
제2절 공자의 자연사랑과 베이컨의 자연정복 유토피아
2.1. 공자의 친자연적 지식과 자연사랑
2.2. 기독교적 자연정복과 그리스 지성주의의 ‘파멸적 야합’
2.3. 지성주의적 자연정복관과 ‘뉴아틀란티스’
제3장 토마스 홉스의 절대적 경험주의
제1절 홉스의 절대경험론: 근대적 소박경험론
1.1. 감각적 경험의 절대화
1.2. 절대적 지식과 조건적 지식
제2절 ‘지혜의 지배’의 비판
2.1. ‘지혜의 평등성’
2.2. ‘지혜의 지배’와 철인치자에 대한 비판
제4장 존 로크의 회의론적 ‘궐의궐태’와 이간 지성의 한계
제1절 ‘인식의 한계’에 대한 계몽: 로크의 ‘궐의궐태’
1.1. ‘평이한 박문지적 방법’의 경험론과 중용적 지식론
1.2. 퓌로니즘의 거부
제2절 본유관념과 본유인상의 부정
2.1. 관념과 인상의 본유성의 부정: 네오에피쿠리언적 오류
2.2. 인식론적ㆍ도덕론적 백지론
제3절 객체적 인과성과 실체의 부정
3.1. 객관적 인과관계의 부정
3.2. 개연적 자연지식: 자연과학의 불가능성
제5장 아이작 뉴턴의 경험론적 자연철학과 ‘궐의궐태’
제1절 뉴턴의 경건한 ‘궐의궐태’
1.1. 불가지적 ‘사물의 원인’의 제외
1.2. ‘중력의 원인’의 불가지와 ‘부지이작’의 거부
제2절 현상적 인과관계와 시효적 자연지식
2.1. 현상적 인과성과 자연지식: 귀납적 시효지식
2.2. 『프린키피아』이후 인과율의 해소: 통계적 평균치
제6장 데이비드 흄의 ‘온고지신’과 ‘비판적 경험주의’의 완성
제1절 경험론적 ‘인간과학’의 확립
1.1. 경험론적 ‘인간과학’의 탄생과 역사적 의미
1.2. ‘궐의궐태’와 ‘이삭줍기’의 과학
제2절 흄의 인식론의 기본 구조
2.1. 인상과 관념, 감흥인상과 반성인상, 기억과 상상의 구분
2.2. 본유관념의 부정과 본유인상의 인정
2.3. 관념들의 연합과 실체의 부정
2.4. 수학적 관념: 감각적 인상의 복제물
제3절 인과율의 습관인상적 개념
3.1. ‘온고지식’의 인과성으로서의 습관적 연결인상
3.2. 추리적 명증성의 세 가지 근거 유형: 지식ㆍ증명ㆍ개연성
3.3. 동물의 이성: 공맹과 흄의 친화성
3.4. 모든 과학지식의 실천적 개연성과 불완전성
제4절 실체적 자아의 해체와 자아구상론
4.1. 실체적 주체의 해체: 단순한 ‘자각의 다발’로서의 ‘나’
4.2. 흄의 구상론적 주체구성과 공자의 수신론적 주체구성
제5절 ‘완화된 회의론’ : 아카데미아 회의주의
5.1. 독단적 이성과 회의적 이성의 변증법
5.2. 흄의 ‘완화된 회의론’과 공자의 중용적 회의론
제6절 ‘공론의 지배’: ‘지식의 지배’의 불가능성
6.1. 국가지배의 정통성의 원천과 국가발생의 원인
6.2. 이성의 광적 지식욕과 침략성
제2부 서구 합리론의 공자주의적 비판
제1장 플라톤의 변증론적 ‘사이불학’ 과 신화적 ‘부지이작’
제1절 이성과 이데아의 인식
1.1. 감각의 기만성과 이성적 인식의 요청
1.2. 선의 이데아와 태양의 비유
제2절 이데아론
2.1. 동굴의 비유: 짐작, 믿음, 지성적 지식, 학적 지식
2.2. 이데아의 기원: 윤회와 상기
2.3. 선의 이데아: 중도
제3절 천재적 ‘지혜의 지배’ : 철인치자
3.1. 선의 이데아의 인식능력과 권력요구
3.2. 플라톤의 이상국가: 철인치자의 나라
제2장 아리스토텔레스의 논증적 ‘사이불학’ 과 광적 ‘자유지식’
제1절 이성적 직관과 농증
1.1. 유사 경험론과 논란
1.2. ‘이성적 직관’ 의 논증적 합리론
제2절 무제한적 자유지식과 전지적 ‘지식의 지배’
2.1. ‘지식을 위한 지식’ 과 전지주의
2.2. ‘지식의 재배’ : 아리스토텔레스적 지혜의 권력요구
2.3. 아리스토텔레스의 실체론과 이데아론에 대한 비판
2.4. 영혼의 구조
제3장 아우구스티누스의 ‘격사치지’
제1절 ‘시 팔로르 숨’ : 내가 속는다면 나는 존재한다
1.1. 신앙보명설
1.2. 광적 지성주의: 삶을 초월하는 지식
제2절 감각의 격하, 수의 격상
2.1. 감각의 인정과 격하
2.2. 수의 격상
제3절 잠재적 살신殺神과 지성적 자연지배
3.1. 지성주의적 도덕과 살신의 잠재성
3.2. 지성주의적 자연지배
제4장 데카르트의 표절적 ‘격사치지’
제1절 전지적 이성과 도덕적 보수주의
1.1. 이성과 철인입법자: ‘지식의 지배’ 에 대한 요구
1.2. 확실한 지식과 전지주의
1.3. 확실한 지식을 위한 수학적 직관과 연역
1.4. 데카르트의 도덕적 보수주의와 임시도독
제2절 격사치지와 생이지지生而知之
2.1. ‘코기토 에르고 숨’ 의 격사치지
2.2. 데카르트의 ‘생이지지’ 와 상기설
제3절 전지적 권력의지
3.1. ‘지식을 위한 지식’ 과 자연약탈
3.2. 권력의지로서의 자유의지: 지성주의적 인간지배와 자연지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