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기주도학습에 대한 관심과 궁금증이 점점 더해가고 있다. 저자는 20여 년 전부터 자기주도학습의 필요성을 절감하고 직접 실천에 옮겼다. 중학교 과학교사로서 교과서를 과감히 버린 채 수업을 진행하는 파격을 감행하고 있는 것이다. 그날그날의 실행 과제를 제시하고 그 과제에 대해 생각한다.
목차
들어가며
Step 01. 수업을 하다 # 경험으로부터 배우다 어릴 적 관심을 오래간다 아이들의 잠재려은 어디까지일까? 필요하면 공부하게 되고, 가르치면서 배운다 아이들은 차별을 싫어한다 아이들의 수업에 놀라다 # 대단한 아이들 아이들에게 수업을 시키다 간단한 학습지도안 우리는 무엇에 의해 교육을 하는가? 원래부터 바보는 없다 나보다 뛰어난 아이들이 많다 # 아이들이 수업을 하다 아이들과 만나는 첫 시간 아이들이 진행하는 수업 과학과 탐구활동 교육은 얼마나 멀리 보아야 하는가? 아이들에게 기회를 주어라 내가 원하는 수업 # 스스로 공부하라 무엇이 교육적일까? 학원에 가기 싫어하는 아이들을 위하여 학원은 다녀야 하는 것일까? 스스로 공부하는 아이의 가까운 미래 #누구를, 무엇을 보고 배우는가 교과서와 참고서 연구수업과 수업연구 영재교육 단상 영재는 맞춤 교육을 시켜라 나의 스승, 아버지 나의 스승, 선생님
Step 02. 수업을 바꾸다 # 좋은 수업을 찾아보다 내 수업에 대한 의심 좋은 수업은 좋은 결과를 낳아야 한다 좋은 수업이란? 고품질수업(HQLT)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을까? 아이들에게 무엇이 부족한가? # 지식은 어떻게 형성되는가 잘못된 인식은 얼마나 오래가는가 한발 물러서서 보자 새로운 형태의 자기주도학습 # 나의 수업에 변화를 주다 첫 시간,수업규칙 정하기 수업규칙을 정하는 것에 대해 모둠 정하기 큰 개념(Big Idea)을 가르쳐라 # 수업을 설계하라 큰 개념과 수업의 설계 수업시간을 어?게 줄일 것인가? 한 시간의 수업 흐름 교과서 재구성과 수업과정 # 활동 위주로 수업을 하라 선지식과 발표 발표 규칙과 발표 자세히 관찰하기 분석해보기 수업용 소칠판(화이트보드) # 실재적 지식을 가르쳐라 사실로 모델링하라 전동기 만들기 지층의 설계 지층의 원리 학습지 # 아이들이 생각하게 하라 수업 집중시키기 화석의 생성 창의력 신장을 위한 문제 교사의 자율성 은사님의 수업방법 # 꿈을 심어주는 교육 교사는 전문가여야 한다 아이들의 꿈에 나는 어떤 영향을 끼쳤는가? 암석의 절대연령 우리 아이들은 행복한가? 박물관 만들기 # 고정관념을 깨라 지질시대 지진파 화산과 지진 판의 경계1차시 판의 경계 2ㆍ3차시 대륙이동설과 판구조론 # 쉽고 즐겁게 학습할 수 있다 교과 진도가 피룡한가? ‘전기’가 과연 어려울까? 여섯 시간으로 전기 마스터하기 수업에 대한 아이들의 반응 수업방법의 확산 보급 다른 선생님들께 나의 수업을 보이다
Step 03. 아이들을 바꾸는 수업 # 좋은 수업이란 어떤 것인가? 좋은 수업에 있는 것과 없는 것들 좋은 수업의 조건 최고의 교수 # 새로 만난 아이들과의 수업 새 학교에서의 수업 새 학교에서의 첫 시간 수업으로 수업방법 알기 참을줄 알아야 한다 변화는 바른 시일 내에 일어나는 것이 아니다 # 내 전공이 아니어도 수업설계가 가능하다 다른 모둠의 생각 비판하기 게임을 통해 빠르기의 개념 알아보기 1차 공개수업 시곗바늘의 빠르기 수업에 대한 정리 2차 공개수업 운동 기록의 해석-1 운동 기록의 해석-2 # 무참조 자기주도학습 메타인지가 정말 일어나는가? 무참조 자기주도학습 실험 전 선지식 알아보기 실험설계와 실험실 둘러보기 # 스스로 실험하는 아이들 물질의 특성 스스로 알아보기 금속의 밀도 측정 용액의 특성에 관한 몇 가지 실 스스로 꾸민 실험 물질의 특성에 관한 메타인지 기체의 용해도 # 저절로 학습된다 잘못 인식하고 있는 것을 어떻게 할까? 1학기 중간고사를 치르다 정독하고 이해하기 모둠별 탐구과제 토론수업에 대하여 # 아이들이 변한다 아이들이 평가한 내 수업의 지표 아이들의 변화 그 밖의 변화 그렇다고 수준을 떻어뜨릴 수는 없지 않은가? # 다른 곳에 나의 수업을 적용하다 야외지질 체헙학습 눈높이에서 바라보고 아이들의 입장에서 생각하기 야외에서의 자기주도학습 한국과학영재학교의 RTM 활동수업 RTM 모형에 의한 활동수업 진행 RTM 모형의 장점과 단점 다시 찾은 야외지질 체험학습 관찰과 추론을 통한 관악산 야외지질 체험학습 # 이론적 토대를 모색하다 발도로프 학교를 가다 무엇보다 실천이 중요하다
맺으면서 참고문헌 부록
서가브라우징
3배속 공부법 : 서울대 의대·치대·공대를 석권한 공부의 신이 알려주는 합격의 절대 법칙 2024 / 지음: 서준석 / 빅피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