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일 근대소설의 문체 성립 : 다야마 가타이·이와노 호메이·김동인 = (The) establishment of the style in modern Korean & Japanese novels : Tayama Katai, Iwano Hômei and Kim Dong-in
발행연도 - 2011 / 안영희 지음 / 소명출판
-
도서관
미추홀도서관
-
자료실
[미추홀]일반자료실2
-
부록
부록없음
-
등록번호
KM0000272219
-
ISBN
9788956266121
-
형태
431 p. 24 cm
-
한국십진분류
문학
>
한국문학
>
소설
-
카테고리분류
에세이/시/희곡
>
한국문학
>
한국문학의 이해
책소개
연세근대한국학 총서. 한일 근대문체의 내실 비교를 통해서 한일 근대문체의 형성과정을 밝혀냈다. 제1장에서는 김동인과 이와노 호메이의 일원묘사와의 관련성에 대해 검토하였다. 제2장에서는 ‘He’ ‘She’의 한국어와 일본어의 번역을 통해 삼인칭대명사의 번역과 삼인칭고백담론의 성립을 보았다.
목차
책머리에
서장
1. 일본의 리얼리즘과 '있는 그대로'의 전통
1) 이와노 호메이의 약력
2) 『오부작』의 작품세계
2. 한국 근대문학의 성립과 메이지ㆍ다이쇼문학
1) 『창조』의 창간과 한국 근대문학 성립
2) 리얼리즘의 도입
3) 김동인의 현실묘사방법
3. 선행연구
제1장 '그' 'ㅆ다'와 일원묘사 『발전』「약한 자의 슬픔」
1. 이와노 호메이와 김동인의 일원묘사
1) 이와노 호메이의 그리과 일원묘사론
2) 김동인의 그리과 묘사론
2. 작중인물과 내면묘사
3. 삼인칭과 객관묘사
제2장 삼인칭대명사 'He' 'She'의 일본어와 한국어 번역
번역어에 의한 새로운 소설담론과『독약을 마시는 여자』
1. 彼(그), 彼女(그녀) -『이불』『오부작』
1) 언문일치문장의 완성 - 다야마 가타이와 이와노 호메이
2) 그, 그녀-『무정』「약한자의 슬픔」
3) 번역어과 근대소설문체
제3장 언문일치체와 종결어미『방랑』「마음이 옅은 자여」
1.『방랑』의 개작과 언문일치체
1) 종결어미 - ‘る(ㄴ다)’형에서 ‘た(ㅆ다)’형으로
2) 주어의 보충
2. 근대문체의 시도와 완성 - 이인직·김동인
1) 『혈의 누』의 이중표기
2) 근대문체의 완성 - 김동인
제4장 화자의 시점과 내면『이불』『끊어진 다리』「배따라기」
1.「이불」의 소설기법과 작품세계
1) 흔들리는 시점
2) 고백과 억제된 내면
3) 편지와 내면
2.『오부작』의 소설기법과 작품세계
1) 고정되는 시점
2) 배제되는 내면
3) 내면과 행동하는 욕망
3.「배따라기」의 소설기법과 작품세계
1) 이중화되는 시점
2) 소설의 창조를 그리는 이야기와 내면
3) 금기의 성과 승화된 욕망
제5장 한일 근대소설의 작품세계『악령』「감자」
1.『오부작』작품세계와 자전적 요소
2.「감자」의 객관묘사와 현실인식
1) 객관묘사에 의한 새로운 소설기법
2) 방언에 의한 지역성
3) 금전과 관련된 이야기세계
3. 한일 고백체담론의 전개
1) 일본의 작품세계와 고백체
2) 한국의 작품세계와 고백체
종장 | 한일근대 삼인칭고백체 담론의 성립과 그 전개
참고문헌
자료집
1. 『발전』- ‘る(ㄴ다)’형에서 ‘た(ㅆ다)’형으로
2. 『발전』의 일원묘사
3. 『방랑』『끊어진 다리』『악령』의 개작 - 초고와 개정판의 차이
『방랑』
『끊어진 다리』
『악령』
4. 「약한 자의 슬픔」의 일원묘사
5. 「마음이 옅은 자여」「배따라기」「감자」- 주어와 종결어미
통계(나이)
통계(나이) 데이터
나이 |
대출건수 |
10대 미만 | 0 |
10대 | 0 |
20대 | 0 |
30대 | 0 |
40대 | 0 |
50대 | 0 |
60대 | 0 |
70대 | 0 |
80대 | 0 |
90대 | 0 |
통계(연도)
통계(연도) 데이터
연도 |
대출건수 |
2016년 | 0 |
2017년 | 0 |
2018년 | 0 |
2019년 | 0 |
2020년 | 0 |
2021년 | 0 |
2022년 | 0 |
2023년 | 0 |
2024년 | 0 |
2025년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