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머리에
해독 1. 일본의 고유성과 타자의 흔적-모토오리 노리나가에 있어서의 광기와 정기
‘한’(韓)의 흔적
‘일본’의 성립
신라에 강림한 신
『쇼코하쓰』라는 저술
정기의 담론이란 무엇인가
‘일본’ 성립의 언어적 기념비
‘한’을 포괄하는 제국
해독 2. ‘일본어’(야마토고토바)의 이념과 그 창출-모토오리 노리나가 『고지키전』의 선물
‘일본어’란
『고지키』를 읽는 것
『고지키』를 읽을 수 있는가
노리나가의 『고지키』 발견
‘야마토고토바’의 훈독
먼저 ‘야마토고토바’가 있었다
해독 3. 제사국가 일본의 이념과 그 성립-미토학과 위기의 국가신학
‘천조’라는 한자어
『신론』과 국가적 장계
제사적 사적의 회상
소라이의 귀신제사론
국가적 위기와 민심
죽음이 귀착하는 곳
해독 4. 국체론의 문명론적 해체-후쿠자와 유키치의 『문명론 개략』과 국체론 비판
국체 개념의 기존성
국체론과 문명론
국체 개념의 탈구축
고습의 혹닉
해독 5. 도덕주의적 국가와 그 비판-후쿠자와 유키치의 ‘지덕론’ 해독
비판적 담론으로서의 문명론
‘지덕론’의 과제
지ㆍ덕의 구별과 재구성
도덕주의 비판
지력이 행해지지 않는 사회
인지 발달의 광경
독립 인민과 정부: 급진적 리버럴리즘
해독 6. ‘일본민족’ 개념의 고고학-‘민족’, ‘일본민족’ 개념의 성립
고고학적 해독이라는 작업
개념 성립을 둘러싼 ‘시차’
사전에서의 ‘민족’
‘민족’ 개념의 전이적 성립
국수주의적 ‘일본’
‘일본민족’ 개념의 성립
‘일본민족’ 개념의 이중화
해독 7. ‘민족국가’의 윤리학적 성립(1)-와쓰지 데쓰로의 윤리학에 대해: 에식스에서 윤리로
먼저 ‘윤리학’이 있었다
국민도덕의 요청
‘에식스’에서 ‘윤리’로
‘윤리’의 해석학
해독 8. ‘민족국가’의 윤리학적 성립(2)-와쓰지 데쓰로의 윤리학에 대해: 쇼와 일본의 윤리학
‘윤리’ 개념의 재구성
‘인간’ 개념의 재구성
인간 공동태의 윤리학
‘공공성’과 ‘사적 존재’
문화공동체로서의 ‘민족’
해독 9. 철학이라는 내셔널리즘-‘종의 논리’, 국가의 존재론
1943년의 철학자
‘죽는 것이다’
국가를 위한 당위로서의 죽음
국가의 존재론
‘종’의 논리
해독 10. 동양민족협화와 ‘국체’의 변혁-다치바나 시라키의 「국체론 서설」
다치바나 시라키를 아는가
1941년의 다치바나
「국체론 서설」의 위상
‘국체’ 개혁의 세 법칙
동양사회의 재구성
후기
옮긴이 후기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