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폐수처리공학
1.1 폐수처리의 목적
1.2 폐수배출에 의한 영향
1.3 폐수처리 방법 및 처분
1.3.1 폐수처리
1.3.2 폐수처분
1.3.3 폐수처리 방법
1.4 처리수 및 슬러지의 처분 및 재사용
1.5 환경기준 및 방류수 수질기준
제2장 폐수의 발생원과 유량
2.1 폐수의 발생원
2.1.1 생활하수
2.1.2 산업폐수
2.1.3 지하수 침투수
2.1.4 우수량
2.2 폐수량
2.2.1 폐수량의 산정
2.2.2 폐수량의 변화
2.2.3 폐수량의 감축
예제문제
제3장 폐수의 특성
3.1 폐수의 특성
3.1.1 물리적 특성
3.1.2 화학적 특성
3.1.3 생물학적 특성
3.2 폐수의 조성(성분)
3.3 폐수의 상태
3.4 폐수성분의 물리ㆍ화학적 변화
예제문제
제4장 예비처리공정
4.1 랙과 바 스크린
4.2 분쇄기
4.3 침사지
4.4 예비폭기조
4.5 전염소처리
4.5.1 악취제어
4.5.2 처리시설물의 보호
4.5.3 침전 보완
4.5.4 BOD 감소 및 분해
4.6 유량의 조정
4.7 유량의 측정
4.7.1 유량측정장치의 종류 및 적용
4.7.2 폐수의 유량 측정장치
4.7.3 측정장치의 선정기준
4.7.4 유량측정 장치의 유지관리
예제문제
제5장 1차처리공정
5.1 부패조
5.2 임호프조
5.3 1차침전지
5.3.1 1차침전전지의 종류
5.3.2 1차침전지의 설계
5.3.3 침전슬러지의 양
5.3.4 운전 및 유지관리
5.3.5 물리적 관찰 및 기록
5.3.6 운전조작상의 문제점
예제문제
제6장 2차처리공정
6.1 미생물
6.1.1 미생물
6.1.2 미생물 증식
6.2 미생물의 증식에 관여하는 영향인자
6.3 활성슬러지 공정
6.3.1 활성슬러지
6.3.2 생물산화
6.3.3 활성슬러지 공정의 처리단계
6.3.4 활성슬러지 공정의 개요
6.3.5 각종 설계ㆍ운전 지표 및 부하조건
6.3.6 혼합액부유물질(MLSS)의 제어
6.3.7 반송슬러지의 제어
6.3.8 폭기
6.3.9 활성슬러지 변법
6.3.10 활성슬러지 공정의 장ㆍ단점
6.3.11 운전
6.4 살수여상법
6.4.1 살수여상법의 원리
6.4.2 구조와 설계
6.4.3 살수여상의 분류
6.4.4 재순환
6.4.5 문제점 및 해결방안
6.5 회전원판법
6.5.1 회전원판공정의 특성
6.5.2 회전원판공정의 원리
6.5.3 RBC의 적용
6.5.4 RBC공정의 설계
6.5.5 RBC의 장ㆍ단점
6.6 2차침전지
6.6.1 2차침전지의 종류
6.6.2 2차침전지의 설계
6.6.3 2차침전지의 운전상의 문제점
예제문제
제7장 소독공정
7.1 병원성 미생물
7.2 소독방법의 선정
7.3 소독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7.4 염소처리
7.4.1 염소처리의 목적
7.4.2 염소 및 염소화합물(염소소독제의 종류)
7.4.3 염소의 화학반응
7.4.4 염소 요구량
7.4.5 염소주입
7.4.6 염소 주입기
7.4.7 염소 저장용기
7.4.8 염소주입시의 운전 및 유지관리
7.4.9 연속 염소처리
7.5 기타 소독방법
7.5.1 자외선 소독
7.5.2 오존 소독
예제문제
제8장 슬러지 처리
8.1 개요
8.1.1 슬러지처리의 목표
8.1.2 슬러지
8.1.3 슬러지의 처리방법
8.1.4 슬러지의 최종처분 방식
8.2 슬러지의 농축
8.2.1 슬러지 농축의 목적
8.2.2 중력식 농축
8.2.3 부상식 농축
8.2.4 원심분리식 농축조
8.3 소화
8.3.1 혐기성 소화
8.3.2 호기성 소화
8.3.3 고온 혐기성 소화
8.4 슬러지 개량
8.4.1 슬러지 세척
8.4.2 약품첨가법
8.4.3 열처리
8.5 슬러지 탈수
8.5.1 탈수의 목적
8.5.2 슬러지의 탈수성
8.5.3 탈수방식
8.5.4 탈수방법의 장ㆍ단점
8.6 슬러지의 소각
8.6.1 입형 다단 소각로
8.6.2 회전건조 소각로
8.6.3 유동충 소각로
8.6.4 습식 산화
8.7 슬러지의 퇴비화
8.7.1 원료
8.7.2 원료 취급
8.7.3 반응조 시스템
8.7.4 공기공급 시스템
8.7.5 냄새조절 시스템
8.7.6 옥외 후숙 / 저장설비
8.7.7 판매
8.7.8 퇴비화의 장ㆍ단점
8.7.9 퇴비화의 주요 인자
예제문제
제9장 고도처리공정
9.1 고도폐수처리의 형태
9.2 고도처리 공정의 종류
9.2.1 잔류 부유물질의 제거
9.2.2 영양염류의 제거
예제문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