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미래사회는 우리에게 희망을 주는 사회가 될 것인가? 이러한 질문들을 필두로 국가의 완성이란 무엇인가, 정의롭고 올바른 국가란 무엇인가, 바람직한 국가의 이상과 목적을 실현하기 위해 깨어있는 국가와 성찰하는 사회는 무엇인가에 대해서 고민하고 사유한다. 그리하여 거버넌스 공동체에서 필요한 성찰적 국정관리를 도출하며, 민주주의 정책학의 완성을 위한 정책학적 조건들과 내용적 요인들에 대해 탐구해 보았다.
목차
저자서문
제1장 깨어있는 국가, 성찰하는 사회
1. 프롤로그
2. 사례 하나: 빈 라덴 사살, 정의가 실현되었다?
3. 사례 둘: 우리나라 금융권의 도덕적 해이
4. 사례 셋: 양극화와 중산층의 붕괴
5. 깨어있는 국가, 성찰하는 사회
제2장 정의로운 국가란 무엇인가
1. 플라톤의 정의로운 국가
2. 매슬로의 '가의 완성’
3. 하버마스의 '근대성: 미완의 기획’
4. 라스웰의 인간의 존엄성
5. 정책학 이념으로서의 성찰성
6. 국가의 완성과 정의로운 국가
7. 인류 역사의 흐름과 문명의 패러다임
제3장 역사의 흐름과 문명의 패러다임
1.인류 역사는‘생각’진보의 역사이다.
2. 문명의 패러다임
3. 관계를 성찰하는 것이 중요해진 사회
제4장 성찰적 근대성과 성찰사회
1. 우리가 지향하는 사회는 어떤 사회인가
2. 성찰적 근대성
3. 근대성: 미완의 기획
4. 공화정 민주주의와 숙의 민주주의
5. UNDP의 성찰적 거버넌스 모형
6. 미래사회와 성찰적 공동체
제5장 성찰하는 마음과 공동체 정신
1. 성찰사회란 무엇인가?
2. 성찰사회와 이(理)
3. 성찰사회와 심(心)
4.‘구하는’마음과‘비추는’마음
5.‘비추는’마음과‘성찰적’국정관리
6. 성찰하는 마음과 공동체 정신
광우병 쇠고기 파동 사례와 성찰적 정책모형
제6장 정의, 성찰적 공동체, 그리고 거버넌스
1. 존 롤스의 정의론
2. 마이클 샌델의 정의란 무엇인가
3. 자본주의 4.0과 성찰적 자본주의 공동체
자본주의 4.0
4. 시민주의 공동체 모형과 성찰적 공동체 모형
5. 성찰적 공동체의 거버넌스: 성찰성을 어떻게 증진시킬 것인가
6. 성찰적 공동체의 거버넌스: 보건의료 거버넌스 사례
성찰적 공동체의 거버넌스 사례: 건강보험개혁을 위한 보건의료미래위원회
제7장 무엇을 성찰할 것인가 : 성찰공동체의 내용으로서의 지(智)와 덕(德)
1. 성찰사회의 내용으로서의 智와 德: 개인적 차원
2. 성찰사회의 내용으로서의 智와 德: 공동체 차원
개인주의적 경쟁과 성찰하는 공동체
제8장 국정관리에 있어서의 성찰성 : 현대행정학과 성찰적 국정관리
1. 행정이론의 두 축, 민주성과 효율성 - 의연한 民, 한심한 官
2. 현대행정학과 성찰성
3. 본질적 질문으로서의 성찰성
현대행정학의 본질적 질문
4. 미래의 바람직한 정부상
미래의 바람직한 정부상
5. 미래지향적 국정관리
미래지향적 국정관리모형
제9장 정책학에 있어서의 성찰성 : 민주주의 정책학과 인간의 존엄성
1. 정책학은 사회공동체에 대한 理想을 강조한다
2. 정책학은 인간의 존엄성을 지향한다
3. 정책학은 실천적 理性을 강조한다
4. 정책학은 정책대상집단을 配慮하는 가슴 따뜻한 학문이다
5. 정책학은 민주주의의 완성을 추구한다
제10장 성찰적 국정관리와 민주주의 정책학의 완성
1. 성찰사회의 핵심은‘智德’
2. 성찰적 국정관리의 핵심은 사회의‘智德’을 증장시키는 것
3. 효율성, 민주성과는 다르다
4. 선진사회가 되기 위해선 또 다른 한 차례‘성숙’이 요구
5. 진정한 참회, 반성, 각성을 통한 상승이 필요
6. 민주주의 정책학과 성찰사회의 실현
제11장 요약 및 결론
1. 주장과 논점
2. 에필로그
전체개요
참고문헌
미 주
찾아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