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고전 연구의 일인자이자 《중국 3천년의 인간력》의 저자 모리야 히로시의 ‘참모학’. 중국의 오랜 역사에는 수많은 명보좌관과 명재상이 등장한다. 이들은 모두 명참모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바로 그 참모들의 지혜를 소개하며, 그를 통해 명참모가 되기 위한 조건에는 어떠한 것들이 있는지 살펴본다.
목차
머리말
1장 일인자와 이인자 저우언라이― 중국의 정치적 걸작 저우언라이가 완수하지 못한 역할 마오쩌둥과 저우언라이의 차이 철저히 ‘인’을 관철한 도가적인 처세술 주공단―불세출의 ‘명보좌관’ 공자가 꿈에서 만난 정치가 ‘주지육림’의 폭군 주왕 군사 ‘태공망’ 오다 명재상의 탄생 성실함이야말로 이인자의 조건 주나라 창업의 위기 주군의 의심에 대한 방책 만남을 위해서라면 끼니도 마다하다 능력주의냐 친족 중시냐
2장 참모형 인재의 조건 삼국 이전의 명참모 지략으로 섬기다 ‘명철보신’의 술책 내부에 적이 기다리는 남자들 폭주를 허락한 공명의 한계 순욱의 비극 손권을 이끈 주유 가후- 일생을 그림자로 살아간 남자 여몽과 중달― 지략의 발전 과정 병법서와 역사서에서 배우다 사마중달의 갈고 닦은 지략
3장 재상형 인재의 조건 최고 권력의 대행자 첫 번째 유형- 현상의 계보 관중― 탁월한 정치 수완 소하― 유방의 명보좌관 공명― ‘국궁진력’의 명재상 두 번째 유형- 성명의 계보 자산― 강직함과 부드러움을 적절하게 보여준 군자 안영― 간언에 능한 청빈 재상 방현령과 두여회- ‘정관의 치’의 명콤비 요숭과 송경― 개원의 릴레이 콤비 세 번째 유형- 비분의 계보 오기― 체제 개혁의 선구자 상앙― ‘상군 변법’의 주역 상홍양― 재정 재건의 담당자 왕안석― 이상주의자의 비극 장거정― 철완재상의 탄식 네 번째 유형- 포폄의 계보 이사― 전제군주의 보좌관 공손홍― ‘곡학아세’의 재상 풍도― 난세의 오뚝이 다섯 번째 유형- 악명의 계보 조고― 진 제국의 산역꾼 이임보― 음모귀계의 달인 진회― 매국노인가 평화주의자인가 여섯 번째 유형- 무위의 계보 조참― 무위청정의 재상 진평― 술수를 감춘 무위 병길― 대체를 알고 사람을 알다 왕도와 사안― 조정 능력의 본보기 사마광― 무위의 무책
4장 이인자의 중국 고전학 이인자의 마음가짐 나무 닭과 같이 조직에서의 ‘인’과 ‘용’ 공명의 ‘엄’과 ‘신’ 인생에서의 ‘지’, ‘덕’, ‘위’ 이인자의 리더십 오자서와 범려 손무와 손빈 장량과 진평 ‘모’에서 알 수 있는 이인자의 조건 ‘모’가 가진 이미지 ‘사’에 경도된 조조의 ‘모’ 중달의 내숭 《손자》의 병법에서 알 수 있는 약자의 전략 이인자를 위한 전략전술 |첫 번째 원칙| 승산 없이는 싸우지 말라 |두 번째 원칙| 적을 알고 나를 알라 |세 번째 원칙| 주도권을 쥐어라 |네 번째 법칙| 아군은 모으고 적은 분산시켜라 |다섯 번째 원칙| 실을 피하고 허를 쳐라 |여섯 번째 원칙| 적의 눈을 속여라 |일곱 번째 원칙| 임기응변으로 싸워라 |여덟 번째 원칙| 장수를 얻어라
역자 후기
서가브라우징
명참모의 조건 : 중국 역사상 가장 뛰어난 재상과 참모들의 지혜2011 / 모리야 히로시 지음 ; 김현영 옮김 / 한국물가정보
같이 빌린 책
하룻밤에 읽는 중동사2008 / 미야자키 마사카츠 지음 ; 이규원 옮김 / 랜덤하우스코리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