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사지리학 분야의 중견 학자 11명이 연구 성과를 종합하여 완성한 결과물이다. 역사와 지리의 관계를 밝혀 역사지리학의 정의를 명확하게 제시함으로써 오늘날 지리학 내에서 굳건한 위치를 주장할 수 있게 된 역사지리학 분야에 대한 이해를 돕고 시간과 공간을 다루는 데 필요한 자료와 접근 방법까지 친절하게 설명해 주고 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역사지리학의 본질과 접근 방법 1. 역사지리학의 본질 2. 자료와 접근 방법
제2장 한민족의 기원과 형성 과정 1. 민족의 개념에 대한 고찰 2. 고조선을 우리 민족사에 편입하는 과정 3. 고구려의 형성과 팽창 과정 4. 통일신라의 삼한일통의식과 삼한 개념의 변화 5. 고구려 계승 이델올로기의 형성 과정 6. 한민족의 형성 과정에 관한 ‘과학적인 역사관’
제3장 영토와 행정 구역 1. 영토와 지방 2. 조선 시대 이전 3. 조선 시대 4. 개화기 이후
제4장 전통적 자연관 1. 역사지리·문화·자연관 2. 원형적 지리 인식과 자연관의 문화적 차이 3. 자연을 개발의 대상으로 보는 서구적 자연관 4. 자연을 본받고자 하는 동아시아 자연관 5. 한국의 전통 자연관 6. 한국 땅에 새겨진 전통적 자연관 7. 역사지리학 연구에서 전통 자연관의 의의
제5장 공간의 표상, 고지도 1. 한국 고지도의 사회·문화사 2. 전통적 세계관과 세계지도 3. 국토 인식과 조선전도 4. 도성도와 군현지도 5. 다양한 유형의 고지도
제6장 지역 정보의 보고, 지리지 1. 국토의 이력서, 지리지 2. 조선 전기 전국지리지의 편찬과 국가의 지역 파악 3. 읍지의 편찬과 지리 정보의 종합 4. 주제별 지리서의 편찬과 지역 파악의 체계화 5. 고산자 김정호의 전국지리지 6. 실학적 지리서와 지리학 지평의 확대
제7장 인구의 역사지리 1. 인구와 역사지리학 2. 인구 연구의 자료 3. 인구의 변천 4. 인구의 지역적 분포 5. 인구의 이동
제8장 농업과 농업 공간의 변천 과정 1. 농법과 수전 농업의 발전 과정 2. 수전 농업 발전의 지역적 차이 3. 수전 농업의 발전 요인과 입지 확대
제9장 촌락의 형성 과정과 발달 1. 촌락이란 무엇인가? 2. 촌락을 보는 역사지리적 관점 3. 고려 시대 이전의 촌락 4. 조선 시대의 촌락 발달과 분화 5. 근·현대 이후의 간척 촌락과 산촌
제10장 도시의 입지와 구조의 변천 1. 백제의 도성 2. 신라의 수도 3. 고려의 수도 4. 신라와 고려의 지방 도시 5. 조선의 수도 6. 조선의 지방 도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