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
조선왕조 개국 초기부터의 왕권 계승 과정과, 왕권 강화와 왕권의 정통성 수호를 둘러싼 두 파의 대립과 승리한 측의 잔혹한 처결 방식, 정통 왕을 지키고자 한 사육신과 생육신을 다룬 책이다. 무엇보다 예전부터 논란의 대상이 되어 온 김문기가 분명히 사육신이라는 이유를 밝히고 남효온이 저술한 <육신전>의 오류 또한 명확히 보이고자 하였다.
목차
들어가는 말
제1부 세조의 왕위 찬탈과 단종의 숙청
움트는 역사의 비극
권력 장악의 당위성
신권 확대에 따른 왕족들의 불안감 고조
다른 길을 걷는 형제들
단종 복위 운동의 실패와 상왕 단종의 죽음
단종의 복위에 걸린 244년의 세월
역성易姓 반역으로 출생한 조선왕조
혼란한 고려 말에 등장한 이성계
대륙의 세력에 기댄 고려 조정
이성계의 선택
조선왕조의 왕위 계승
세자에 오른 여덟째 왕자 방석의 죽음
둘째 아들 이방과에게 돌아간 왕위
정종의 불안한 나날
2차 왕자의 난과 태종의 즉위
나라를 중흥시킨 성군聖君 세종의 등장
심약한 문종의 험난한 항해
비극의 역사 중심에 선 문약한 군주 단종
* 단종 가계도
* 단종 연표
단종의 즉위와 종실 대군의 정치 참여
신권 정치를 추구하는 대신들
정치에 적극 참여한 두 왕자, 수양과 안평
숙청당하는 문종의 충신들
계유정난으로 칼자루를 잡은 수양 대군
임금을 협박하고 왕자를 죽인 43인에게 내린 공신
* 계유정난 공신표
단종 대의 상황을 보여주는 이징옥의 반란
단종의 퇴위와 복위 운동
명나라 황제도 속은 거짓 주청 문서
실패할 줄 알면서 시작한 단종 복위 운동
김질의 변절
세조의 왕위 찬탈을 합리화하기 위한 석방
상왕 단종을 궁지로 몰아넣는 찬탈 왕 세조의 하수인들
내가 군주인데 이디를 가라고 하는가
금성 대군의 직언은 유배 길이 되었다
달콤한 한 토막 춘몽이 깨어지는 소리
노산군으로 강봉되어 영월로 향하는 단종
단종에게 송별연을 베푸는 세조
죽음보다 더한 유배지 청령포
굵게 떨어지는 빗물은 선왕들의 눈물인가
영월 부사 자리는 달갑지 않았다
세조 본심의 뿌리는
단종의 목줄을 조이는 먹구름
혼 없는 단종의 시신은 어디로
노산군 묘가 능이 되기까지
제자리를 찾는 단종의 체백體魄 - 실록을 중심으로
숙종의 심기를 흔든 신규의 대쪽 같은 상소
단종 복위를 위한 본격적 논의
숙종, 영조, 정조, 고종으로 이어지는 난제
244년 만에 바치는 시책문
장릉과 사릉의 분묘 수축 공사
단종 복위에 대한 의의
제2부 사육신과 생육신
김문기가 정사의 사육신인 이유
사육신과 생육신은 누가 지은 이름인가
남효온이 엮은 「육신전」은 믿을 만한가
사육신으로 판정받기까지의 경위
국사편찬위원회 판정 뒤 제기된 문제
사육신은 언제 가려졌는가
사육신의 선정 기준
허후가 중요 기준이 되는 근거
『세조실록』에 기록된 사육신
허후, 성삼문, 박팽년, 하위지, 이개, 유성원의 공통점
단종 복위 운동으로 처형당한 인물들
김문기는 사육신이다 -『조선왕조실록』과 『육신전』의 비교
능력에 걸맞은 명망
단종 복위를 위한 역할
유응부로 오전된 근거
『추강집』「육신전」의 분석
추강 남효온의 「육신전」에 오른 사육신
이개의 큰 숙부 이계린과 작은 숙부 이계전
「육신전」의 보급으로 인한 영향
*『조선왕조실록』과 남효온의 「육신전」 비교표
「어정 배식록」과 김문기 삼중신론의 허위성
장릉에 세워진 정단 32명 배식 위차 표
「어정 배식록」 자료의 오류
『조선왕조실록』의 사육신 관계 주요 기사 표
단종을 추모하며 벼슬을 버린 생육신
매운 절개를 가진 탁원한 문장가 김시습
청백리 이맹전
자신의 인생을 담담히 받아들인 조여
욕심을 버리고 속세를 이긴 성담수
의리를 버린 세상을 개탄한 원호
스승 김종직의 존경을 받은 남효온
남효온이 아닌 권절을 생육신으로 모셔야 하는 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