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6장 벼 재배 기술
6.1 벼 재배 환경과 생산기반 / 박광호, 오윤진
1. 기상 환경
2. 토양 환경
3. 지력 증진법
4. 수리 안전화 실태
5. 쌀 생산 작업 및 시설 기계화 실태
6.2 벼 재배 유형 / 김정곤, 김영두
1. 재배시기에 의한 분류
2. 재배 방식에 의한 분류
3. 답전 윤환
6.3 벼 재배 기술
1. 벼 품종 선정 / 양세준, 최해춘
2. 육묘 / 양원하
3. 본답 준비 및 이앙 / 양원하
4. 본답 시비 방법 / 이충근
5. 본답 물 관리 / 박홍규
6. 재해 경감 기술 / 최경진
7. 병충해 경감기술 / 노재환
8. 생리 장해 대책 / 곽강수
9. 잡초 방베 / 구연충
6.4 벼 수확 후 관리기술 / 김기종
1. 수확 적기 및 방법
2. 탈곡 및 건조 기술
3. 저장 및 도정 기술
6.5 다수확 재배 기술 / 양원하, 곽강수
1. 토양 개량
2. 품종 선택
3. 재배 기술
4. 벼 다수확 기록 사례
5. 벼 다수확 재배기술 요약 및 전망
6.6 생산비 절감 재배 기술 / 박성태
1. 기계이앙 재배
2. 벼 직파재배
6.7 양질미 생산 기술 / 최원영
1. 양질미 개념
2. 품종 및 토양조건
3. 육묘 및 이앙 시기
4. 질소 시비 방법
5. 물 관리
6. 적기 수확
6.8 친환경 벼 재배 기술 / 전원태
1. 벼 친환경 재배
2. 제초제 대체 벼 친환경 재배 기술
3. 녹비작물 이용 벼 친환경 재배 기술
4. 친환경 벼 재배 기술의 방향
6.9 논 작부체계 기술 / 서종호
1. 벼 이모작 재배기술
2. 논밭 윤환 벼 재배 기술
제7장 쌀의 품질 및 이용
7.1 쌀의 종류 / 최해춘
1. 멥쌀과 찹쌀
2. 자포니카와 인디카 쌀
3. 특수미
7.2 쌀의 품질 / 황흥구, 이정희
1. 외관 품위
2. 식미와 쌀의 이화학적 특성
3. 쌀 식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7.3 쌀의 이용 / 김태영
1. 쌀의 구조
2. 쌀의 도정
3. 쌀로 만든 가공식품
4. 쌀가루 가공과 이용
5. 쌀 부산물의 이용
제8장 벼 유전 육종론
8.1 벼속 식물의 게놈 구성 / 문헌팔
1. 식물분류학상 벼속의 위치
2. Oryza 속의 종 분류와 분포
3. 벼속의 배수성과 게놈 구성
4. 벼속 게놈의 DNA 함량
8.2 재배벼의 기원과 분화 / 안상낙
1. 도작의 기원과 전파
2. 야생벼와 재배벼
3. 재배벼의 생태형 분화
8.3 벼 형질과 유전
1. 벼 염색체지도 / 최해춘
2. 형태적 형질의 유전 / 전병태
3. 생리적 형질의 유전 / 원용재
4. 병충해 및 재해 저항성의 유전 / 조영찬
5. 생리 장해 저항성 유전 / 양세준
6. 웅성불임성 유전과 잡종벼의 특성 / 김홍열
8.4 벼 배수성 및 이수성 변이와 이용 / 최해춘
1. 배수체
2. 이수체
3. trisomics를 이용한 유전 분석
8.5 벼 육종방법
1. 계통육종법 / 고희종
2. 집단육종법 / 고희종
3. 세대촉진법 / 고희종
4. 여교잡 육종법 / 최임수
5. 일대잡종 육종법 / 송유천
6. 돌연변이 육종법 / 신영섭
7. 약배양 육종법 / 이기환
8. 재조함 DNA 육종법 / 남민희
9. 벼 종자 증식법 / 신문식
8.6 특성 검정법
1. 내병성 검정법 / 김연규
2. 내충성 검정법 / 김명기
3. 생리적 특성 검정법
4. 생태 및 형태적 특성 검정법 / 이점호
5. 수량 특성 검정 / 김규원
6. 미질 특성 검정 / 오세관
7. 벼 주요 품종 특성 / 최용환
제9장 쌀의 유통 및 가공
9.1 쌀의 유통 / 박평식
1. 쌀 시장 개방과 유통 여건
2. 쌀 유통 체계 변화와 유통 실태
3. 브랜드 쌀의 유통 실태와 개선 방안
4. 쌀 유통 차별화 전략
9.2 미곡종합처리장
1. 미곡종합처리장의 변천 / 김동철
2. 미곡종합처리장 운영
9.3 쌀 가공식품
1. 쌀 가공식품 기술의 변천 / 금준석
2. 쌀 가공식품의 유통과 전망 / 금준석
3. 쌀의 기능성 및 소재화 기술 개발 / 이세은
4. 미곡 부산물 이용 기술 개발 / 이세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