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소개![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해양탐험의 역사> <해운과 전문직업> 등을 펴낸 김성준의 책으로, 배와 항해와 관련된 여러 주제들을 깊이있게 다룬다. '배의 크기 단위에 대한 역사지리학적 변천', '한국선박사 연구 동향과 전망', '서양선에 대한 조선인의 인식과 대응', '항해 나침반의 사용 시점에 대한 동서양 비교', '표해록에 나타난 조선시대 선원 조직과 항해술' 등의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목차![책소개 펼치기/닫기 화살표](/images/uce/commmon/downArrow.svg)
책을 내며
도론_항해사란 무엇인가?
Ⅰ. 역사의 대상으로서의 항해
Ⅱ. 항해사의 개념
제1부 배
1장 배의 크기 단위에 대한 역사지리학적 변천
Ⅰ. 서양에서의 배의 크기 단위
Ⅱ. 동양에서의 배의 크기 단위
Ⅲ. ton의 어원과 변천
2장 선박 톤수 측정법의 역사적 변천
Ⅰ. 무어슴 방식 도입 이전의 선박톤수
Ⅱ. 영국 범선의 톤수 측정법의 변천
3장 한국선박사 연구 동향과 전망
Ⅰ. 외국인에 의한 연구의 태동
Ⅱ. 한국인에 의한 정통론의 정립
Ⅲ. 펑라이 고려 조선의 발굴과 연구 지평의 확대
4장 장보고 시대의 배와 항해
Ⅰ. 장보고의 배
Ⅱ. 장보고 시대의 항해
5장 펑라이(蓬萊) 고려 고선의 한국선박사상의 의의
Ⅰ. 펑라이 고려 고선의 발굴 개요와 특징
Ⅱ. 펑라이 고려 고선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견해와 평가
6장 한선에 대한 선인(先人)과 현대인의 평가
Ⅰ. 한선에 대한 선인들의 평과
Ⅱ. 한선에 대한 현대 연구자들의 평가
7장 서양선에 대한 조선인의 인식과 대응
Ⅰ. 1860년 북경함락 이전까지의 서양선에 대한 인식과 대응
Ⅱ. 북경함락에서 개항까지의 이양선에 대한 인식과 대응
Ⅲ. 개항 이후의 이양선에 대한 인식과 대응
제2부 항해
8장 항해 나침반의 사용 시점에 대한 동서양 비교
Ⅰ. 동양에서 지남기의 변천 과정
Ⅱ. 서양에서 Magnetic Compass의 발전 과정
9장 18세기 영국 상선 선원의 배승 구조와 근로 조건
Ⅰ. 상선 선원의 배승 구조와 직계
Ⅱ. 상선 선원의 근로 조건
Ⅲ. 선원 문제에 대한 선주들의 대응
10장 17~19세기 유럽 상선 선장의 지위 변화
Ⅰ. 법전과 안내서에 나타난 선장의 지위
Ⅱ. 사례에 나타난 선장의 지위
11장 『최부 표해록 역주』에 대한 항해학적 검토
12장 표해록에 나타난 조선시대 선원 조직과 항해술
Ⅰ. 최부의 『표해록』에 나타난 선원 조직
Ⅱ. 최부의 『표해록』에 나타난 항해술
Ⅲ. 최부와 장한철의 배의 표류 결과 비교
Appendix
1. A concept of the History of Navigation
2. Literature Review and Outlook on the History of the Korean Ship
찾아보기